국민의당, '통합'에 '분당' 맞불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8-01-04 11:31:34
반대파, '재편' 혹은 '신당'... 초강수 대응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바른정당과 2월 내 ‘신설합당’을 목표로 통합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4일 통합반대파 측이 ‘신당추진’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의 정례모임인 '국민통합포럼'은 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각 당의 정강·정책을 비교, 분석하는 토론회를 개최, 전날 열린 통합추진협의체(통추협) 논의를 잇는 역할을 했다는 관측이다.
통추협은 전날 첫 회의에서 양당 통합과 관련, ▲신당 창당 방식의 신설 합당 ▲제3세력까지 규합하는 대통합으로 추진 ▲올 2월 내 신당 창당 완료 ▲양당 공동의 실무지원팀 운영(4+4 형태) 등에 합의한 바 있다.
통합파 관계자는 '신설합당' 방식에 대해 “신당이 양 당을 흡수하는 방식”이라며 “의원들 당적이 승계되고 절차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신설합당에 대한 정당법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정당이 대등한 입장에서 새로운 조직 및 당명으로 합당하는 것으로 합당등록 신청일로부터 3월이내 반드시 지구당 개편대회를 거쳐 변경등록을 마치도록 돼 있다.
하지만 통합반대파의 반발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 ‘별도 신당 추진’이라는 초강수를 꺼내든 국민의당 반대파 반발이 구체화되면서 분당 수순을 밟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동영 의원은 신당추진 방식에 대해 "안 대표가 나간 국민의당을 재편해서 개혁 신당으로 만드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아니면 바깥에서 신당을 별도로 만드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파가 신당 문제를 공식적으로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교섭단체 마지노선인 20명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에 정치권 관심이 쏠리는 양상이다.
반대파 최경환 의원은 교섭단체 규모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신당 추진의 동력 자체가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통합을 반대하는 당내 의원 규모가 24~25명 정도"라며 “풍찬노숙을 하더라도 보수야합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한편 양당의 합당 과정에 '햇볕정책' 등 입장이 정리되지 않은 안보관 차이 등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안철수 유승민 대표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 개성공단 재개, UAE(아랍에미리트) 의혹 국정조사, 건국절 등 주요 이슈에서도 이견을 보인 바 있다.
이에 따라 당 안팎을 중심으로 합당 이후 또 다른 내부 갈등으로 진통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통합파 측은 "양당의 강령은 큰 차이가 없고 안보 부분도 조금 보완하면 되는 정도"라며 세간의 우려를 일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