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턱 밑 도달한 검찰 칼끝에 “정치보복” 반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8-01-18 10:22:26

이재오 “MB, 검찰 포토라인에 설일 없다”
정두언 “최측근 김희중 '변심'.., 게임 끝났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이명박 전 대통령(MB)이 턱밑까지 밀고들어온 검찰 수사에 "정치보복"이라며 강력반발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과거 한솥밥을 먹던 친이계 인사들이 상반된 전망을 내놨다.

이재오 전 의원은 18일 “MB가 검찰 포토라인에 서는 일은 없다”고 단언한 반면, 정두언 전 의원은 “게임은 끝났다”며 구속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이 전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 전 대통령 구속을 전제로 모든 의혹과 혐의를 붙인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검찰의 수사방식에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에게) 정말로 권력형 비리가 있으면 딱 떨어지겠지만 아무리 조사를 해도 그런 게 없었다”며 “(검찰이 그래서) 국민들 피부적 감정을 건드리는 댓글수사와, 다스문제, 결국엔 특활비까지 손을 댄 것”이라고 주장했다.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특활비에 대해서는 “박근혜 정부 때는 특수활동비를 매월 상납하고 쓴 게 분명하고 그야말로 권력형 부패 혐의가 있었지만, (이 전 대통령은) 검찰 발표를 그대로 믿는다고 하더라도 이미 돈을 다 주고 사후에 보고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활비라는 게 노무현·김대중·김영삼 정부 때도 다 있었다”며 “이명박 정부 특활비를 손댈 정도면 노무현·김대중 정부 때도 손대야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특히 이 전 의원은 “노무현·김대중 정부 때 미공개 정보를 공개하느냐 안 하느냐는 별개의 문제이지만, (우리가) 많은 것을 알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면서 “당신들이 괴롭히면 우리가 알고 있는 걸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을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정치판이 노무현 정권과 이명박 정권의 싸움이 되면, 결국 문재인 대통령에 (불똥이) 튀게 된다”며 “정치보복 악순환의 고리를 문 대통령이 끊어야 한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다가 대통령 당선 이후 멀어진 정두언 전 의원은 전날 MB의 갑작스런 기자회견 이유와 관련해 다른 관측을 내놨다.

전날 저녁 교통방송 라디오 인터뷰에 나선 정 전의원은 "MB의 기자회견은 최측근 김백준 전 대통령 총무기획관의 구속이 아닌 김희중 전 대통령 제1부속실장의 입이 열렸기 때문"이라며 "이 전 대통령의 마음이 급해진 것이며 게임은 끝났다”고 단언했다.

이어 김 전 부속실장에 대해 “MB의 집사 중의 집사, 성골 집사”라며 “(김 전 부속실장이) 이 전 대통령을 국회의원 시절부터 보좌했고 돈 관리를 다 했다. 김백준 주머니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김희중 주머니에서 다 나온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전 의원은 김 전 부속실장이 변심한 배경에 대해 “김 전 실장이 2012년 저축은행에서 억대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1년 정도 실형을 살았는데 이 일로 MB에게 내팽개쳐져 철저한 배신감을 느끼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전 부속실장의 구속 기간 중 그의 아내가 사망했으나 이 전 대통령이 장례식장에 가기는커녕 조화도 보내지 않는 등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이 전 대통령 검찰 수사의 방향을 정할 ‘키맨’인 김희중 전 제1부속실장의 진술이 전날 MB로 하여금 다급하게 입장을 표명하도록 만들었다는 게 요지다.

앞서 MB는 전날 오후 5시 30분 서울 삼성동 사무실에서 입장문을 통해 "이명박 정부 청와대와 공직자들에 대한 최근 검찰 수사는 처음부터 나를 목표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적폐 청산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검찰 수사에 대하여 많은 국민이 보수 궤멸을 겨냥한 정치 공작이자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 보복이라고 보고 있다"며 "최근 역사 뒤집기와 보복 정치로 대한민국의 근간이 흔들리는 데 대해 참담함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퇴임 후 지난 5년 동안 4대 강 살리기와 자원 외교, 제2롯데월드 등 여러 건의 수사가 진행되면서 많은 고통을 받았지만 저와 함께 일했던 고위 공직자들의 권력형 비리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