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원전해체 산업 ‘관·산·학·연’ 손잡아

최성일 기자

csi346400@siminilbo.co.kr | 2018-01-29 16:00:00

30일 ‘市 원전해체산업 육성 협의회’ 출범
고리1호기 해체 대비··· 범지역적 방안 마련
레이저 절단기술·인력양성 프로 등 발표도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는 30일 시청 회의실에서 시, 시의회, 기장군, 연구기관, 대학, 산업계 대표 등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 원전해체산업 육성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진행한다.

이번 협의회는 고리1호기 해체에 대비해 지자체와 시의회, 산·학·연 간 유기적 협력을 통해 지역 원전해체산업 육성 인프라를 구축하고, 범지역적인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다.

이날 회의는 기관별 ‘18년도 원전해체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하고 ‘지역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토의 순으로 진행된다.

기관별 주요내용으로 ▲부산시는 원전해체 기술·개발전문인력 양성·네트워크 강화 사업 ▲기장군은 원전해체 등을 주제로 하는 ‘원전세계도시 초청 기장포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남지역본부는 ‘부산지역 원전해체 기술개발 지원사업’ ▲한국기계연구원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는 ‘원전해체용 레이저 절단기술 개발사업’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지역본부는 ‘원전 폐로 제염·해체 기술교류회 운영사업’ ▲부산상공회의소는 ‘부산지역 원전해체산업 실태조사사업’ ▲부산대는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 초청 제염·해체 인력양성 프로그램’ ▲(주)태웅은 ‘자유형 단조공정을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이송용기(CASK) 제조기술 개발 및 상용화사업’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시는 향후 실무위원회를 별도 구성·운영해 세부 이행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김기영 시 경제부시장은 “부산지역은 고리1호기 영구정지에 이어 2025년까지 고리 2·3·4호기의 설계수명이 순차적으로 만료돼 세계 최대 해체원전 밀집지역으로 부상함에 따라, 유관기관과 산업계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부산이 원전해체산업 거점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