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댓글조작’ 특검 실시하라
고하승
gohs@siminilbo.co.kr | 2018-04-19 09:00:00
편집국장 고하승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민주당원 댓글조작' 연루 의혹과 관련 지난 14일과 16일 두 차례에 걸쳐 기자회견을 열고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지만, 외려 그의 해명이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김 의원이 진실을 말하지 않고 뭔가 숨기려 하고 있다는 인상을 짙게 풍기는 탓이다.
실제 김 의원은 지난 14일 밤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드루킹과의 첫 만남 일시에 대해 "대선 경선(2017년 3월) 전에 (드루킹이) 처음 연락해왔다"고 했지만, 16일엔 “2016년 중반에 의원회관으로 찾아왔다”고 말을 바꾸었다.
만남 시점에 대한 설명이 불과 이틀 만에 약 10개월 가량의 갭이 발생한 것이다.
드루킹의 대선 이후 인사 청탁 요구에 대한 언급도 달랐다. 그는 1차 입장 발표에서 “드루킹이 직접 찾아와서 당일 청탁을 했었고 그런 무리한 요구는 들어줄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2차 기자간담회에서는 "(대선 이후) 드루킹 이런 분들이 회관을 찾아와 자신들이 인사 추천을 하고 싶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는 열린 인사, 열린 추천 시스템이 있기에 좋은 분이 있으면 전달하겠다' 했더니 오사카 총영사로 한 분을 추천했다"며 "(해당 인사의) 경력을 보니까 대형 로펌에 계시고 일본 유명 대학을 나온 전문가였다. 될지 안될지 모르지만 전달할 수 있겠다 싶어서 인사수석실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단순히 인사청탁을 안 들어 준 것이 아니라, 사실상 인사수석실로 그를 추천한 사실을 시인한 셈이다. 물론 김 의원은 “그것이 인사청탁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드루킹의 활동에 대해서도 처음에는 "그 분들이 어떻게 활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모른다’는 취지의 해명을 했으나, 나중에는 "경선장에 (드루킹이 개설한 카페인) 경공모 회원들이 (문 대통령)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해서 경선에 참여하고 오프라인에서 문 후보 지지활동을 열심히 하겠다고 했는데, 그 분들이 그룹으로 와 지지활동하고 그런 모습을 확인했다"고 말을 바꾸었다.
대체 김 의원은 무엇을 감추기 위해 이토록 결이 다른 해명을 하는 것일까?
어쩌면 김 의원이 감추고 싶은 것은 드루킹이 대표로 있는 유령회사인 ‘느룹나무 출판사’의 실소유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 17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10년 가까이 매년 억대의 임대료, 운영비를 지출하고 책 한권 출판하지 않은 출판사가 있을 수 있나, 검찰과 경찰은 민주당 당원의 개인 일탈로 이 사건을 어물쩍 넘어가면 안 된다"며 "다스의 주인은 밝혀졌으니 이제 느릅나무(출판사) 주인을 찾아야한다"고 주장한 것은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느릅나무출판사는 댓글공작의 주범 드루킹이 대표로 있는 회사다. 드루킹은 이곳을 출판사로 사업등록을 했지만, 이곳에서는 8년간 펴낸 책이 없는 그야말로 ‘유령회사’다.
한마디로 정상적인 사업으로 돈벌이를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는 회사인 셈이다. 그런데도 한달 500만원 가까이 되는 월 임대료와 관리비 등을 8년간 단 한번도 밀린 적이 없다고 한다. 게다가 출판사가 출판도 하지 않는데 거기에 근무하는 직원은 5명이나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들이 과연 거기에서 무슨 일을 했으며, 그 돈은 누가 뒤에서 대 주었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네티즌들도 “파주의 느릅나무출판사는 누구 소유입니까? 8년동안 책 한 권 내지 않고도 월세는 꼬박꼬박 냈다는데 출판사 운영자금 출처는 어디입니까?”라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바른미래당 이언주 의원도 "촛불혁명의 산물로 태어난 문재인 정부, 이명박·박근혜 댓글 사건을 수사한 문재인 정부에서도 '느릅나무는 누구 것입니까'라는 말이 나와서는 안 된다"며 검찰·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국민들 역시 '느릅나무는 누구 것입니까'라고 묻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따라서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기 위해서라도 국정조사는 물론 특검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민주당도 “김경수 의원도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굳이 진실규명을 회피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니겠는가.
정말 김경수 의원이 댓글조작 사건의 ‘공모자’나 ‘윗선’이 아니라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면, 민주당이 먼저 특검도입에 찬성의사를 표시함이 옳다는 생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