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협치내각’ 카드에 야권, '동상이몽' 양상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8-07-30 12:27:57

한국 “구체성 없어 지금은 말할 단계 아냐” 일축
바른, '조건부 수용 VS ‘보수통합’ 계파따라 '각각'
평화, “협치 아닌 통치” 반발하지만 전대 이후 찬성할 수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청와대가 최근 꺼내든 사실상 ‘연정’에 해당하는 ‘협치내각’ 카드에 대해 야권이 동상이몽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관측이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구체적인 것이 없어서 지금은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면서도 "조건이 아주 파격적이라면 논의를 안 해볼 순 없지 않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날 KBS라디오 '최강욱의 최강시사'에 출연한 김 위원장은 "(제안이) 어떤 의도, 어떤 뜻으로 나온 것인지, 장관 한 두사람은 의미가 없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은 계파별 각기 다른 반응으로 내분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정의당은 협치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받은 이후 판단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바른당 관계자는 “청와대 발 '협치내각'과 한국당과의 '보수통합'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당내에 갈등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국민의당 출신 중심인 호남계 의원들은 조건부 허용 가능성을 내비친 반면, 바른정당 출신들은 한국당과의 보수통합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연정을 하려면 연정에 관한 협약서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며 "그 협약서 문건에는 서로 합의하는 정책이 다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 사실상 ‘조건부 협치 수용’의사를 밝혔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이언주 의원, 장성민 전의원, 이준석 위원장이 김병준 위원장 내정 하루 전 만난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국당과의 보수통합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관측이 나오자 "한국당하고 통합 가능성이 없다"며 "범(凡) 보수라고 얘기하지 말아 달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바 있다.

민주평화당도 일단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당내 일각에선 협치 내각 제안이 결국 차기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의 통합을 열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조배숙 평화당 대표는 “청와대가 협치라는 단어를 썼지만, 장관 몇 자리로 야당을 유혹하는 것은 협치가 아닌 통치”라고 비판하면서도 “협치 내각은 선거제도 개편과 개헌 합의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전당대회가 끝나면 오히려 협치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릴 것”이라며 “오히려 민주당과 연정이나 통합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에 출연, ‘청와대가 민주평화당, 정의당과 함께 협치내각을 구상중’이란 보도에 대해 “당내 어떤 분도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상과 내용을 제안 받은 바가 없다”고 일축하면서도 “구체적인 제인안 와야 검토해 볼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제안이 나올 경우, 이를 둘러싼 내부의견 수렴과정에서 갈등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앞서 정의당은 민주평화당과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할 때에도 진통을 겪은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