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수급자 등 저소득층 11만3천 명 대상 10만 원 추가 지급
![]() |
▲ 광주광역시 제공 |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광역시가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의 차질없는 지급을 위해 관련 추경 에산 편성과 전담TF 구성, 상생카드 제작, 보조인력 채용 등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지난달 24일 정부 추경을 통해 확정됐으며, 지원 금액은 1인 당 25만 원이다.
대상은 6월분 가구별 건강보험료 합산 액이 하위 80% 이하인 경우 해당되며,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는 특례기준이 적용된다. 고액자산가는 지급대상에서 제외된다.
광주시는 일정이 확정 되는대로 온·오프라인 신청을 통해 신용·체크카드와 광주상생카드 중 선택해 지급할 예정이다.
현재 광주시는 전체 시민의 90%에 해당되는 130만 명 정도가 지급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소요예산 3250억 원의 20%인 650억 원에 달하는 지방비 부담액을 시와 자치구가 분담하는 방안을 조속히 결정해 추경예산 편성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해 긴급재난지원금은 세대주가 당해 가구를 대표해 신청하도록 했으나 이번 국민지원금은 미성년자를 제외하고는 개인별로 신청·지급하도록 돼 있어 행정복지센터를 통한 상생카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25만 원 권 상생카드 30만매를 특별 제작해줄 것을 광주은행에 요청했다.
아울러 관련업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시와 자치구에 부단체장을 단장으로 하는 전담TF를 구성하고, 중앙정부로부터 지급대상자 명단과 시‧도별 예산액, 추진일정 등 세부 지침이 시달되는 대로 자체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적극적인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대상자들이 빠짐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소득하위 80%까지만 지원 대상이 되는 만큼 소득기준 경계에 있는 다수 시민들의 민원 발생을 고려해 광주시와 자치구에 전담 콜센터와 이의신청 처리 반을 운영한다. 동 행정복지센터에는 1~2명의 보조 인력을 채용해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상생카드 신청‧교부 관련 불편을 최소화한다.
이 밖에도 기초수급자와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등 저소득층 11만3000명에 대해서는 1인 당 10만 원의 국민지원금을 별도의 신청절차 없이 24일 기존 복지급여 계좌로 추가 지원한다.
이달주 시 복지건강국장은 “이번 상생 국민지원금은 코로나19 장기화로 피해를 입은 시민들을 폭넓게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시민들이 불편 없이 신청하고 빠르게 지급받을 수 있도록 자치구와 함께 사전 지급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며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생활안정은 물론 침체에 빠진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