郡-한국지구과학회 심포지엄
자연유산원 분소 건립 등 논의
[해남=정찬남 기자] 전남 해남군이 해남공룡박물관 활성화를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지질ㆍ고생물 연구단체인 (사)한국지구과학회와 손을 잡았다.
천연기념물 제394호로 지정된 ‘우항리 공룡 익룡 및 새발자국 화석산지’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익룡 발자국과 보 행렬, 현생 오리류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물갈퀴 새발자국,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1m 크기의 대형 초식공룡 발자국이 남아 있다.
불꽃 구조ㆍ연흔의 희귀 지층, 새가 먹이를 먹은 부리 흔적, 절지동물 흔적 등 세계적 학술가치를 가지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난 2007년 개관한 해남공룡박물관은 알로사우루스 실물 화석을 비롯한 공룡 실물화석 45점 등 500여점의 전시물을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 공룡 전문박물관이다.
군은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공룡화석지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 10월22일 한국지구과학회와 함께 해남 공룡박물관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방안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김찬종 서울대 교수의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지오투어리즘과 지구과학과 지구과학교육의 중요성'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박물관 운영방안, 전시 해설사 양성과 교육프로그램의 방향, 교사 연수 프로그램 도입, 가상현실 기반 관람 프로그램, 서남권 자연유산원 분소 건립 추진 등 5개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
심포지엄에서는 해남 공룡화석지가 국가 브랜드는 물론 지질 및 자연사교육, 문화콘텐츠의 보고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 발전가능성이 높다는 평가와 함께, 박물관 건립 목적에 맞게 많은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우항리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층 구조도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보유, 중고교 교육과정에 소개되고 있는 만큼, 화석지 특성에 맞는 교육 연수 프로그램 도입과 교육기관에 자료를 제공하는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
군은 학술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적극 검토해 공룡박물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향후 한국지구과학회와 손잡고 순차적으로 공룡화석지 발전방안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