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용원 기자] 경기 광주시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청년정신건강 치료비 지원사업 및 청년정신건강증진(마인드링크) 사업’을 오는 9~12월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청년정신건강 사업은 지역내 대학교 등을 활용해 정신건강 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찾아가는 정신건강 상담실을 운영하고 인식개선 캠페인 및 홍보활동을 실시할 예정이며, 지역내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청년 정신질환을 조기 발굴·개입해 적절한 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청년정신건강 치료비 지원사업은 지역내 거주 만 19~34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진단 검사비용 ▲외래진료 및 약제비 등에 소요되는 외래 본인부담금을 연 36만원 한도에서 지원한다. 정신질환과 관련 없는 치료비는 지원이 불가하며 치료비 지원은 예산 소진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센터 관계자는 "조현병 등 중증정신질환은 25세 전 75%가 발병하고 20대 전후 청년 4명 중 1명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정신질환 치료에도 '골든타임'이 있다"며 "청년정신건강 사업이 질환의 만성화를 막고 회복을 촉진해 사회복귀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청년정신건강 사업은 지역내 대학교 등을 활용해 정신건강 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찾아가는 정신건강 상담실을 운영하고 인식개선 캠페인 및 홍보활동을 실시할 예정이며, 지역내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청년 정신질환을 조기 발굴·개입해 적절한 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청년정신건강 치료비 지원사업은 지역내 거주 만 19~34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진단 검사비용 ▲외래진료 및 약제비 등에 소요되는 외래 본인부담금을 연 36만원 한도에서 지원한다. 정신질환과 관련 없는 치료비는 지원이 불가하며 치료비 지원은 예산 소진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센터 관계자는 "조현병 등 중증정신질환은 25세 전 75%가 발병하고 20대 전후 청년 4명 중 1명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정신질환 치료에도 '골든타임'이 있다"며 "청년정신건강 사업이 질환의 만성화를 막고 회복을 촉진해 사회복귀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