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확대·CCTV 단속 강화
시·군과 빈틈없는 방역 협력
[남악=황승순 기자] 전남도가 최근 겨울철새 31만마리가 유입되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역학조사에서 농장 방역 수준이 오염원 확산을 못 따라감에 따라 대응 수준을 최고단계로 유지, 시ㆍ군과 함께 빈틈없는 방역에 나서기로 했다.
도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겨울철새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 줄어든 156만5000마리가 서식하고 있으나 전남은 오히려 8%가 늘어난 30만7000마리가 관찰됐다.
특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전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오리과 철새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가 늘어난 27만5000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주요 철새서식지별로는 전체 개체수의 40%인 12만4000마리가 영암호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어 영암호에서 서해안으로 이어지는 벨트인 나주, 영암, 무안, 함평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며 이 위험요인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분석됐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발생농장 역학조사에서도 예년과 달리 상시 환기창 개방, 전실 미운영, 왕겨 살포 및 로터리 작업시 소독 미흡 등 농장 내부의 방역 수준이 오염원 확산 추세를 못 따라가는 상황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도는 방역 대응 수준을 최고 단계로 유지하고 시ㆍ군과 협력하기로 했다.
행정부지사 주재로 매일 방역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미흡한 사항은 즉시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닭과 오리의 실 소유지인 계열사가 주인의식을 갖고 해당 계약 농가를 관리하도록 책임성을 강화한다.
고위험지역의 방역지역 밖 오리농장 41곳에 대해 추가로 사육제한을 지속적으로 권고하고 출하 후 재입식 점검을 시ㆍ군에서 도와 농림축산검역본부, 2단계로 강화한다.
오리는 45일령 출하에서 38~39일령 출하로 5일 이상 단축을 유도한다.
농장 밖 오염원 제거를 위한 소독을 1일 2회에서 3~4회로 강화하고 농장 내부 차단방역 실천력을 높이기 위해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통한 단속을 실시하고 미흡한 농장은 온정주의를 배제해 엄중하게 조치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