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5월28~29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유ㆍ무선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진료 거부, 집단 사직, 휴진 등 집단행동을 하는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가 85.6%,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존중하고 지지한다"가 12.0%였다.
의료계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ㆍ배분 결정 효력을 멈춰달라며 정부를 상대로 낸 집행정지 신청의 항고심에서 법원이 지난 16일 각하ㆍ기각 결정을 내린 데 대해서도 70.4%가 "잘한 판결", 18.1%가 "잘못된 판결"이라고 각각 응답했다.
"법원의 판결에도 의대 증원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사단체 입장에 대해서는 65.3%가 "정부 계획대로 의대 증원을 추진해야 한다"며 반대해 찬성(29.1%)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노조는 "의대 증원 확정을 '한국의료 사망선고'라고 규정한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주장과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는 결과"라며 "국민은 의사단체들에 극도의 저항감과 피로감을 보이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단체들은 무엇이 국민의 뜻인지 분명히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대생들이 졸업 후 특정 지역에서 근무하도록 의무화 하는 데 대해서는 85.3%가 '지역의사제 도입'을 찬성했고(반대 9.7%), 81.7%는 공공의대 설립에 힘을 실었다.(반대 13.6%).
'지역의사제'는 대학 입시 단계에서 지역에서 근무할 의사를 뽑아 법으로 지역 근무 의무를 부여하고, '공공의대'는 이런 의무를 진 의대를 만드는 방식이다.
또한 응답자의 86.5%가 "의사단체들이 의대 증원과 관계없이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했고, "대화를 거부하는 의사단체 입장을 지지한다"는 11.2%에 불과했다.
노조는 "최근 촛불집회에서 '한국 의료 사망'을 선고하고 6월에 더 큰 싸움을 시작하겠다고 예고한 의협의 태도는 국민 여론에 정면으로 역행해 거대한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의사단체들은 '의대 증원 백지화'만 내세우지 말고 국민의 뜻에 따라 의료개혁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