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전 BBS 라디오에 출연한 최 의원은 "민주당이야 천상천하 1인 대표 체제니까 당 대표가 다 하지만 원내정당인 우리는 오랫동안 전략적으로 (원내대표가 계획)해왔던 사안이니 미리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숙의를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최 의원은 "추 원내대표가 (한 대표의 특별감찰관 임명 추진 입장에 대해)'원내 전략차원에서 검토할 게 있다'고 했던데 그게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었다"며 "민주당을 압박해 특별감찰관과 함께 10년째 미뤄지고 있는 북한인권재단 이사도 함께 임명하자는 원내 전략에 차질이 생길까 걱정한 게 갈등으로 심화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당 소속 의원 단톡방에서 '추 원내대표는 특별감찰관 도입을 반대하냐'는 취지의 게시글로 반발한 친한계 배현진 의원 관련해서는 "민주당이나 우리 당이나 선출되진 않았지만 대통령 배우자가 자칫 대통령과 비슷한 권한을 누리려고 하거나 그런 혜택을 받는 지위이기 때문에 어떻게 적절하게 국민적 통제에 둘 것이냐. 이런 것들이 항상 고민이었다"며 "우리도 (문재인 정부 당시 대통령 부인인)김정숙 여사 사건 때 특별감찰관 뿐 아니라 특검까지도 주장했는데 (민주당은)기록물보관법이라며 싹 다 밀봉해 묻어버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별감찰관 임명은 우리 당 당론이고 대통령 공약사항이지만 지금 시점에서 (별도로)추진되면 북한인권재단 이사는 민주당 반대로 임명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결과적으로 의원총회에서 결정해야 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여사 건과 관련해서는 "(문재인 정부 때는 물론)지금도 검찰에서 불기소 결정을 할 때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면서 "지난 정부 때 아닌 말로 탈탈 털었는데도 나오지 않았던 것을 지금 정치적 공세를 벌이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 1심 선고 전 특별감찰관 임명을 요구하는 한 대표 주장이 시간적으로 실행 가능하냐'는 진행자 질문에 "국감이 진행 중이라 다음 주 이후에야 의원총회를 열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그때 논의가 결론날 때까지 원내대표한테 일임을 하든 아니면 다수결로 결정하든 방식으로 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추 원내대표는 전날 친한계 의원들이 의원들 단톡방에서 특별감찰관 임명 절차 추진에 대한 입장 설명을 요구하는 등 불만을 제기한 데 대해 “국감을 다 마치고 의원님들 의견을 듣는 의원총회를 개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 대표는 "민주당의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결국 관철할 것이지만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그 이후로 미루지는 않겠다”면서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과 무관하게 특별감찰관 후보를 추천해 김 여사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 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열린 확대당직자회의에서 “특별감찰관 추천이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의 전제조건이라는 것은 지금 상황에서는 국민의 공감을 받기 어렵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다만 대통령실이 전날 여야가 후보 추천에 합의하면 임명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국회 협상을 담당하는 당 원내지도부가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과 특별감찰관 추천을 연계해야 한다는 의지를 강조하고 있어 여야 합의가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특별감찰관과 북한인권재단 이사 연계 문제는 여당내에서 해결할 문제"라며 "당에서 이런저런 논의가 있으니 지켜봐야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