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민심 20% 반영' '역선택 방지' 등 특위안 의결

    정당/국회 / 여영준 기자 / 2024-06-13 11:40:49
    • 카카오톡 보내기
    김용태 “여론조사 의존한 경선 방식 탈피해야” 지적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13일 당원 투표로만 당대표를 선출하도록 돼 있던 기존의 전대룰을 '당원 투표 8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 반영 등으로 변경한 당헌ㆍ당규개정특별위원회의 개정안을 의결했다.


    앞서 특위는 당 대표가 당의 인사와 조직, 예산에 대한 전권을 갖는 현행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하고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대선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은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선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어 민심 왜곡을 최소화하는 장치도 마련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이번 전대에 적용할 룰과 지도체제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총선 패배 이후 민심의 변화에 당이 긴밀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자성과 함께 새 지도부 선출 과정에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면서 당헌ㆍ당규개정특별위원회를 통해 룰 변경 작업에 들어갔다.


    일각에서 민심을 50%까지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당원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반박에 힘이 실리면서 당심 반영도가 높게 설정됐다. 보수정당에서 당 대표 선거에 여론조사를 반영한 것은 지난 2004년이 처음이다. 당시에는 민심을 50% 반영했다.


    한편 김용태 비대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당내 여론조사를 해도 당원이나 적극 지지층의 응답률은 매우 높기 때문에 당이 기획했던 20~30%를 반영하는 안은 국민여론수렴이라는 취지를 왜곡시킬 수 있다”고 현 조사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아마 민심 반영 8대2의 비율을 채택한다면 실제 전체 조사의 결과는 100% 당원 중심 선거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일반여론조사 반영 비율을)5대5 또는 6대4 비율을 적용했을 때 결과적으로 민심ㆍ당심 반영 비율이 7대3 또는 8대2 취지에 맞게 구성될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특히 현행 여론조사 방식에 의존한 경선 방식을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 전화 방식으로 진행하는 여론조사는 당원 여부를 묻는 질문은 있으나 강제 선택성은 없다는 것이다.


    그는 “장기적으로 여론조사 의존방식에 당내 선거가 아닌 미국식 경선이나 공정하게 설계된 온라인 투표 등의 방향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