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환경공단 직원이 가좌사업소 분뇨처리시설 악취방지시설의 유입 악취를 점검 및 포집하고 있다. |
16일 공단에 따르면 올해 초 환경부의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 지침’에 따른 계획과 하수슬러지, 악취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4월부터 3개월간 공공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시설과 슬러지처리시설, 하수와 자원순환 시설의 악취방지시설 등 전체 시설을 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점검 대상에는 가좌, 승기, 남항, 공촌, 운북, 강화, 송도, 영종, 송산, 진두, 선재 등 11개 하수처리장을 비롯해, 분뇨처리시설과 청라·송도·신항사업소 등 42개소다.
악취방지시설(처리용량 17,710㎥/min), 33대의 슬러지 탈수설비(877.07㎥/hr)가 포함됐다. 특히 하수처리장은 일일 총 처리 용량 946,950㎥에 이르는 대규모 시설이다.
점검 항목은 공정 및 운영 실태, 성과평가 부진 지표, 슬러지 처리 실태, 악취관리 이행 여부 등이며 하수 찌꺼기와 악취 시료는 채취해 환경연구소에서 분석, 과학적이고 실효성이 높게 추진하고 있다.
점검을 통해 선제적으로 파악된 문제점을 우선 개선하고 운영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 확인된 문제점은 단계적으로 개선 조치하고 있다. 점검 결과는 2026년 관리대행 성과평가에 활용될 기초자료로도 축적될 예정이다.
김성훈 이사장은 “꼼꼼한 점검과 체계적인 개선을 통해 시민 신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통합지도점검을 계기로 운영 안정성과 서비스 품질 모두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