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100% 당심 기존룰 바꿔 권한축소로 가닥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대룰을 개정하면서 당원권한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의힘은 당원권이 강화된 전대룰을 총선 패인으로 지목하면서 당원권 약화 움직임을 보이는 반면 민주당은 국회의장이나 원내대표 등에 대한 당내 경선 과정에도 당원 의사가 반영되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민주당 관계자는 26일 "중앙당 조직에 당원주권국을 신설해 당원권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조항을 손질하는 당헌ㆍ당규 개정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전당대회 명칭을 전국대의원대회가 아닌 전국당원대회로 고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해 12월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전당대회 표 반영 비율을 기존의 '60대1'(권리당원 60표가 대의원 1표와 같다는 뜻)에서 '20대1 미만'으로 바꾸는 등 권리당원 표 가치를 3배 이상 올려 놓았다.
이런 가운데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표 비중이 재차 상향 조정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관심을 모았다.
일단 민주당은 시ㆍ도당 위원장 선출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 비중은 50대50인데 권리당원 표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아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시ㆍ도당 위원장 선거에서 대의원 50%대 권리당원 50%는 말도 안 되는 규정"이라며 "권리당원의 표 비중을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 수준까지 올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8월 전당대회 전에 시도당 위원장을 새로 선출해야 하니 당장 이번 주부터 선거제 개정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지방선거 공천권을 쥔 시ㆍ도당 위원장 선출부터 당원권이 대폭 강화되면 친명계로 넘어간 당내 헤게모니는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게다가 지난 총선 공천에서 비명계 인사들이 대거 컷오프되면서 22대 국회는 사실상 친명계에 점령된 상태다.
반면 총선에서 참패한 국민의힘은 당원권을 약화하는 쪽으로 전대 룰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이다.
실제 당내에서는 당원투표 100%로 대표를 선출하는 현행 규정을 개정해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일정 비율 반영해야 한다는 요구에 힘이 실리는 기류다.
전주혜ㆍ김용태 비대위원이 당 대표 선출시 민심 반영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가운데 지도부도 이들의 제안에 무게를 싣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당원 반발을 고려해 당원투표 70%ㆍ여론조사 30%로 개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의원, 당선인, 당협위원장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토론을 통해 전대 룰 개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국민에게 개정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도 병행하자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