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은 9일 총선백서특위 위원을 지낸 이상규 서울 성북을 당협위원장이 (총선 당시 여의도 연구원이 조사한)'한동훈 대표 이미지 조사 결과가 안 좋아 공표를 안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여연 조사가 공표된 것을 본 적이 있냐"면서 "이 위원장이 당 생활을 한 지 얼마 안 돼 잘 몰라서 그런 것 같다"고 반박했다.
이날 오전 채널A 라디오에 출연한 신 부총장은 "말 자체가 성립이 안 된다. 조사하면 다 나올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월요일, 최고위원회에서 윤리위원회 구성이 됐고 그날 윤리위 회의를 열어 당무 감사 요청을 했기 때문에 공식 조사는 시작이 된 것"이라며 "그래서 조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언은 가급적 언론 인터뷰에서 안 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총선 당시 여론조사 비용을 18억 정도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현재)선관위에 신고된 당 여론조사 비용은 70억으로 차이가 너무 크다'는 진행자 지적에 "70억은 1년 동안 (진행된 여론조사 비용)총합계, 18억은 총선 기간(조사비용)이라고 들었다"고 대답했다.
그러면서 "문제의 이미지 조사라는 거, 한동훈 개인용은 아닌데 거기에 들어간 비용이 1500만원"이라며 "딱 1회 그게 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총선백서특위위원을 지낸 이상규 서울 성북을 당협위원장은 "지난 총선 당시 여연이 한동훈 대표의 이미지 조사를 실시한 내용은 '대외비'가 아니었다”며 “(한 대표가)독대해주면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만 행동하는 간신들의 명단을 드리겠다”고 반박했다.
이른 바 '한동훈 공격사주'로 당 진상조사 대상으로 지목된 이 위원장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에서 “(총선 때)여의도연구원에서 2030 대상으로 한동훈 위원장 호감도와 이미지를 조사했는데 지역 여론조사는 많이 안하면서 그런 조사를 했다는 게 이상해서 (유튜브에서)얘기했고(세부적인 내용을 언급하진 않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한 대표에 대한)2030 이미지 조사였다"며 "그런데 (조사 결과가)안 좋았기 때문에 우리 당에 도움이 안 되는 내용이어서(말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약에 (조사 결과가)좋았으면 (당에서)보도자료를 내 (언론에)크게 나왔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연 조사)내용을 알게 된 배경과 관련해서는 "(총선백서 작업 당시)여의도연구원에서 굉장히 많은 자료를 받았는데 당 문제가 뭔가 파악하려고 4000장 넘는 걸 다 읽어봤다”며 “(홍영림)여의도연구원장님이 같이 얘기하다가 하나씩 꺼내준 자료가 늘어나 한 4000장 가까이 됐는데 ‘다 가져가라'고 했다. 그러면 그분이 대외비 유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부총장이 보직을 맡고 총선백서를 열람할 당시 대외비라서 사무처 직원이 배석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조정훈 위원장이 내용에 대한 보안 의식으로 총선백서 회의를 할 때 항상 그렇게 했지만 이게 대외비인지 아닌지는 얘기 안 하셨다”며 “회의 때 있던 내용을 (친한계인)김종혁 최고위원이 백브리핑에서도 항상 얘기 하셨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상규 위원장은 이날 jtbc 방송을 통해 "총선 당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여의도연구원에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따로 보고받았다"면서 "당시 여론조사를 담당한 여의도연구원 소속 여론조사실장이 이런 보고 체계가 당규 위반 사항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곤란해 했다"고 주장했다.
이상규 위원장에 따르면 현행 국민의힘 당규상 정책연구소에 해당하는 여의도연구원은 여론조사를 시행하고 원장이 결과를 받으면 그 이후 최초로 열리는 최고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 그런데 총선 당시 진행된 여론조사 결과가 당시 최고위 격이던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 보고된 적이 없었다는 것.
이 위원장은 "여론조사는 굉장히 예민한 자료라, 당 대표가 먼저 보는 게 아니다"면서 "홍영림 당시 여의도연구원장으로부터 당 대표실에 여론조사 결과를 보고했다고 들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같은 내용이 총선 이후 작성된 백서에 실려 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다만 자신은 총선 백서 작업이 완료되기 전 최고위원 출마를 위해 백서특위 위원직에서 물러났다며, 백서 원문을 본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홍 전 여의도연구원장은 "당시 당 대표 뿐만 아니라 원내대표, 사무총장 등 주요 당직자들에게 여론조사 결과를 모두 보고했고 자료도 제출했다"면서도 이후 최고위 보고 절차에 대해서는 "당 사무처 소관"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