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내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의원이 최근 불거진 이재명 대표의 ‘10월 사퇴설’을 일축하고 나섰다.
이 대표 사퇴설은 지난달 28일에는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이 CBS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이 대표가 추석 이후 10월에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고 K 의원을 그 자리에 앉힐 것"이라고 말하면서 시작됐다. 장 소장이 말하는 K 의원은 김두관 의원이다.
그런데 정성호 의원이 7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금 단계에서 만약 3~4개월 후에 이 대표가 비대위 체제로 가겠다고 하면 지금 당장 지도력이 상실되는 것”이라며 “일부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사퇴하는 게 최선책이라고 이야기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마디로 이재명 대표는 사퇴하지 않고 끝까지 간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상하다.
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오는 10일 대의원 제 개편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발표한다고 한다.
비록 ‘노인 비하’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김은경 혁신위원장에 대해 새로운 사생활 논란이 불거진 탓에 이틀 연기하기는 했으나 어쨌든 ‘대의원 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혁신안을 발표한다는 거 아닌가.
대의원 제는 일반 당원 등 보다 더 많은 권리를 행사하는 대의원을 두는 간접 민주주의 성격의 제도다. 민주당 당 대표 선거에서는 대의원이 30%, 당비를 내는 권리당원이 40%, 당비를 안 내는 일반 당원이 5%, 일반 국민이 25% 비율을 차지한다.
그러나 권리당원은 100만 명에 달하는 데 반해 대의원은 1만6000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대의원 한 표의 가치가 권리당원 60표와 같은 것으로 여겨져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특히 이런 제도는 중앙 정치권에 입성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당원 장악력은 높은 이재명 대표 및 친명계에 특히 불리한 제도로 분석된다.
온갖 구설에 휩싸인 김은경 혁신위 체제가 이걸 바꾸겠다는 것이다.
권리당원 중 이재명 민주당 대표 지지자가 많다는 이유를 들어 자칫 '개딸(이 대표 지지자를 이르는 말)'의 영향력만 키울 것이란 우려가 나오지만 막무가내다.
그러니 이상하다는 것이다.
총선 때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한 당내 경선에서는 대의원들이 별도 표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따라서 총선을 위한 제도 개정은 아니다.
더구나 총선을 앞두고 전당대회 룰인 대의원 제를 폐지하는 것이 국민과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인가. 일반 유권자들의 관심 사항도 아니다. 전혀 관심이 없다. 그런데도 물의를 빚은 김은경 위원장이 이런 걸 혁신안으로 들고나오면서 서두르는 이유가 무엇인가.
전당대회를 원래대로 한다면, 총선 이후 이재명 대표의 임기가 끝난 뒤다.
따라서 당내 친명계와 비명계 간 갈등을 유발하는 이 제도를 총선 이전에 바꾸기 위해 서두를 이유가 전혀 없다.
그런데도 이처럼 서두르는 이유가 무엇일까?
어쩌면 이재명 대표의 사퇴를 염두에 둔 조기 전당대회를 생각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 대표 사퇴를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이 시점에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나 최고위원을 선출할 때 필요한 제도를 바꾸는 것에 그토록 집착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재명 대표가 9월을 전후해 구속될 것이란 관측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에 불거진 ‘10월 사퇴설’은 사실일지도 모른다.
이건 국민의힘이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할 부분이다.
이재명 대표가 없는 민주당이라면, 즉 중도 성향의 인사가 당 대표로 들어선다면 내년 총선에서 여당은 버거운 싸움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다만 대의원 제를 폐지하는 걸 보면 그럴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이재명 대표가 물러난다고 해도 당은 어차피 ‘개딸’들이 주인장 노릇을 하는 ‘개판’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당은 안심해도 되겠지만, 정치 발전을 기대하는 국민은 그저 한숨만 나올 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