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부패선관위 개혁을 위한 5대 선결과제로 외부 감시ㆍ견제 강화를 위한 특별감사관 도입, 선관위 사무총장 국회 인사청문회 도입, 법관의 선관위원장 겸임 금지, 시ㆍ도 선관위 대상 행안위 국정감사 도입, 지방선관위 상임위원 임명자격을 외부 인사로 확대하기 위한 선관위법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그동안 국회가 10번 넘게 가족채용 통계를 요구했는데, 선관위는 관련 자료가 없다는 새빨간 거짓말로 대응해왔다고 한다"면서 “사실이라면 국회에 허위 보고한 부분에 대해서도 반드시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권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지난달 28일 국회 행안위 차원에서 선관위 비리 감사를 위한 현안질의를 제안했지만 민주당측에서 거절했다"며 "민주당이 선관위 불법비리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고, 도리어 부패선관위를 비호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직원 자녀 특혜채용 등 대규모 채용 비리로 뭇매를 맞던 중앙선관위가 ‘조직 정화를 위한 특별위원회(가칭)’ 설치를 검토하는 등 뒤늦은 대응에 나섰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는 모습이다.
특히 ‘소쿠리 투표’로 논란이 됐던 2022년 3월 대선 이후 수차례에 걸쳐 내놓았던 선관위의 자체 쇄신 방안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점도 선관위 불신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실제 선관위는 지난 대선 당시 유권자들이 기표한 사전투표 용지를 소쿠리에 담아 옮기다가 사전투표 관리 부실 논란 등이 일자 선거관리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혼잡 사전투표소 지정 및 특별관리 등 사전투표 관리ㆍ운영 개선 방안과 감사 기능 강화 등의 대책을 발표했으나 형식에 그쳤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한 2023년 10월 선관위 고위직 자녀 특혜채용 의혹이 거세게 제기되자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독립적 감사위원회 설치를 공식화했지만 이 역시 형식에 그쳐 실효성 논란에 휘말렸다.
특히 지난 2024년 5월 설치한 조직ㆍ인사 개선 추진 기구에 대해서도 14명 모두 내부 인력으로만 구성돼 국정감사에서 자정 기능을 상실했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