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공개적으로 얘기할 필요 있었나...시기와 방법, 부적절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0일 “대통령께서 한 대표와 독대 필요성에 대한 참모들의 건의를 며칠 전 수용했다”며 “한 대표가 현재 재보선 지원 유세로 바쁜 만큼 선거 이후 만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친한계 정성국 의원은 "아무래도 독대 요청을 이미 드린 부분이고 이제 수용 여부(만 남은 상황)인데, 대통령께서도 결국 한 대표를 만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또 지금 계속 (김)여사 리스크 등 여러 문제들이 불거지는 부분들을 어떻게 대통령이 그냥 둘 수 있겠느냐, 그러니까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형태로 가면 대통령실도 크게 부담스러운 상황이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한 정 의원은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하루라도 빨리 더 만나는 게 더 좋은 거 아니냐'는 진행자 질문에는 "대통령을 만나 허심탄회하게 어려운 문제들을 타결할 수 있는 시기는 보궐선거 직후가(적합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악재들, 특히 명태균씨 폭탄발언이 이슈를 크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대응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김여사 활동 자제 요구에 동감한다'고 밝힌 한 대표 의중에 대해 "지금 여사께서 (사과 등)어떤 액션을 취하는 게 필요하다, 사과만으로 되느냐 등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한 대표는)여사가 행보를 자제하는, 조금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면 사과만 하는 것보다 문제를 타개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겠나, 그런 마음이었던 것 같다"고 대변했다.
또한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이 '검찰이 김여사를 기소해야 당 부담이 줄어든다'고 언급한 의미에 대해서는 "신 부총장님이 도이치 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이 무혐의로 갈 경우 (예상되는)국민적 걱정이나 비판 부분을 걱정해 하신 말씀 같다"며 "기소(여부)를 우리가 판단할 수는 없지 않냐, 검찰이라는 국가기관에 맡기고 우리는 (그 결과에)따라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정 의원은 '김 여사에 대한 당 대표 언급이 당정 갈등을 부각시킨다'는 지적에 대해 "그렇다면 당의 역할이 뭐냐"고 받아치면서 "대통령실이 제대로 받아들지 못하는 민심을 가감없이 제대로 말씀드리는 것이 당의 역할"이라고 일축했다.
당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서도 "지금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는 의대 정원 문제, 여사 리스크, 한 대표와 대통령 간 갈등 등 악재들이 많은데 여기에 김대남, 명태균씨가 나타나 국민의힘을 곤혹스럽게 하는 일들이 생기니 (당에 대한)여론이 좋아질 수 없다"고 응수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의 이유 때문에 당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 당의 원인은 없는 거냐'는 진행자 질문에 "한동훈 대표가 열심히 중재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노력한다는 것으로 대표 자리로 평가받을 수는 없다"며 "한 대표께서도 성과를 내기 위해 정말로 많이 고민하고 애를 쓴다, 이렇게 말씀드리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친윤계 중진 권성동 의원은 "한 대표가 측근 입을 통해서 계속해서 대통령을 비판하며 공격하고 있다"며 "이걸 일반 국민들은 당정 분열로 바라볼 것"이라고 상반된 입장을 드러냈다.
같은 날 오전 SBS 라디오에 출연한 권 의원은 "당정이 분열되면 정권 재창출이 될 수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오늘만 좇다 보면 숲을 보지 못한다, 눈앞의 이익과 정치적 이익만 생각하면 대사를 그르칠 수 있다. 한 대표를 열렬하게 지지했던 TK에서도 70%가 '한 대표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한 여론조사(결과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금 더 긴 호흡으로 국민과 당원들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생각하면서 언행을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특히 권 의원은 전날 부산 금정 보궐선거 유세 도중 '김 여사가 공개활동을 자제하는 게 맞다'고 언급한 한 대표 발언을 특정해 "그런 여론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공개적인 자리에서 얘기할 필요가 있었겠느냐"며 "대통령이 지금 해외 순방 중이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기라든가 방법이 과연 적절했느냐에 대해 저는 달리 생각한다"며 "그런 부분도 대통령하고 만났을 때 독대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얘기하는 것이 좋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