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어 국회도 '이재명 중심'?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4-04-24 14:48:25
    • 카카오톡 보내기
    국회의장도 '친명 3인방 경쟁' 中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22대 전반기 국회를 대표하는 국회의장 선거를 앞두고 거대 의석의 더불어민주당 후보군이 '명심(明心) 팔이'에 주력하면서 총선 압승으로 공고해진 이재명 대표 체제가 국회 장악을 코 앞에 두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다만 주요 후보들이 그동안 무당적으로 중립 의무를 강조해왔던 기존 국회의장의 관례를 깨고 노골적으로 이재명 대표에 대한 충성 맹세를 선거전략으로 삼는 모습이어서 빈축을 사고 있다.


    24일 현재 민주당의 국회의장 경선은 원조 친명 보다 더 가깝다는 의미에서 ‘찐명'으로 지칭되는 정성호 의원과 당 사무총장으로 친명계에 합류한 조정식 의원, 당 대표와 법무부장관을 역임하는 등 개성이 분명한 추미애 당선인 등 친명계의 3파전 구도로 전개될 전망이다.


    국회법에 따르면 국회의장은 국회에서 무기명 투표를 통해 재적의원 과반수 득표자를 뽑고,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2차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하지만 국회 관례상 원내 1당에서 추천한 후보를 의장으로 선출한다는 점에서, 원내 1당 내부 경선에서 최종 승리하면 사실상 의장이 되는 구조다.


    이 같은 이유로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레이스는 친명들 간 경쟁 구도로 윤곽이 잡히고 있다. 총선을 통해 이재명 대표의 당내 영향력이 더 강해진 데다 의장 후보군인 6선과 5선그룹 대부분이 친명 의원들이어서다.


    특히 22대 국회에서 5선이 되는 정성호 의원은 두 후보에 비해 선수에서는 밀리지만 당내 입지 면에선 우월하다는 평가다.


    정 의원은 이 대표와 사법연수원 18기 동기로 40년 가까이 친분을 이어오고 있다. 이 대표와 가까운 의원들 모임인 ‘7인회’ 핵심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정 의원은 당내에서 친명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동료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 정 의원의 경우 이 대표와 당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데, 본인을 일부러 드러내는 방식이 아니라 묵묵히 도왔다는 점에서 의원들의 신뢰가 두텁다.


    6선이 되는 조 의원은 이 대표의 과거 대선 경선캠프인 ‘열린캠프’에서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2022년 8월 이 대표가 당 대표에 취임한 직후엔 조 의원에게 사무총장을 맡겼다.


    조 의원의 경우 1년 7개월 넘게 이 대표와 당무 호흡을 맞추면서 ‘실무’를 했다는 점 등이 당내에서 강점으로 꼽힌다. 당직을 함께 했던 인사들을 비롯해 과거 이 대표 선거부터 본격적으로 돕기 시작한 이들이 조 의원의 지지 기반이다.


    역시 6선이 되는 추미애 당선인은 다른 두 사람에 비해선 ‘후발 친명’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친명과 친문(친문재인) 그룹 간 갈등 국면 등 최근 총선을 거슬러 공천 과정과 그에 앞선 일련의 일들을 살펴보면 친명 인사란 점은 분명하다는 당내 평가가 나온다.


    추 당선인이 국회의장이 되면 헌정 사상 처음으로 여성 국회의장을 맡는 역사를 쓴다. 당 대표를 지낸 인사가 입법부 수장이 되는 사례도 된다.


    문제는 이들 3인방이 모두 '명심'을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민주당 당심을 따르겠다는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실제 정성호 의원은 "기계적으로 중립만 지켜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민주당 출신 국회의장이면 다수당의 책임이 있고 입법적 성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의장이 되더라도 민주당이 추진하는 입법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조정식 의원 역시 "'명심'은 당연히 제가 아니겠나"라며 노골적으로 친명을 강조했다.


    그는 "이재명 대표와 당과 호흡을 잘 맞추는 사람이 국회의장이 돼야 싸울 때 제대로 싸우고 성과를 만들 때 제대로 만들 수 있다"며 "향후 국회 운영 방침은 다수당인 민주당이 주도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도 "기계적 중립 기어를 놓고 아무것도 안 하면 안 된다"며 "'혁신 의장'의 역할을 거부하지 않겠다"고 민주당 지원 의사를 공공연히 밝힌 바 있다.


    국회법에서는 국회의장 재직 중 당적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후보군은 모두 국회의장의 당적 이탈이 정치적 의미일 뿐 의장 역할이 법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어서 누가 되더라도 국회 원구성부터 법안 추진까지 민주당 중심 진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반기 국회 법사위원회 위원장과 운영위원회 위원장직을 민주당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통상 원내 1당이 국회의장을 맡을 경우 원내 2당이 법사위원장을 맡아왔다. 집권 여당의 원내대표가 맡는 게 관례였던 운영위원장도 마찬가지다.


    앞서 조정식 의원은 법사위원장은 물론 운영위원장도 민주당이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정희용 수석대변인은 "너도나도 '명심팔이'를 하며 이 대표에 대한 충성심 경쟁을 하니 국회의장은커녕 기본적인 공직자의 자질마저 의심스러울 정도"라며 "협치라는 말을 머릿속에서 아예 지워버려야 한다는 망언을 빙자한 민주당의 속내가 흘러나오는 가운데 상임위를 독식하겠다는 위헌적 발상도 서서히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