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 대표는 당초 사퇴 시기를 이달 말이나 7월 초쯤 무게를 뒀으나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 구성과 23일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전대 출마 선언 시점 등을 감안해 시기를 앞당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 연임 행보에 맞춰 친명계 중심의 최고위원 후보군도 가시화되는 모양새다.
특히 강성 친명계 인사들이 당원 지지를 등에 업고 대거 지도부에 입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당원권 확대와 정당 개혁 방안을 놓고 이 대표와 긴밀하게 소통 중인 김민석(4선) 의원은 이 대표 캠프의 좌장 격으로 강선우ㆍ민형배ㆍ한준호 의원과 정봉주 전 의원 등 최고위원 선거에 나서는 친명계 인사들과 함께 명실상부한 2기 친명지도부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표측은 “당내 개성이 강한 여러 의원을 이끌고 윤석열 정권에 맞설 수 있는 게 이 대표 말고는 없지 않냐”며 "당원 중심의 정당 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당원권 강화와 직접민주주의 확대에 대한 요구는 전세계적인 현상”이라며 “당의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50쪽 분량의 이 대표 공소장에 '당시 이재명 지사가 쌍방울그룹 김성태 전 회장의 대납 사실을 알고 있던' 정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화영 전 부지사가 2019년 '이 지사가 대납 사실에 대해 알고 있느냐'라는 취지의 김 전 회장 질문에 수차례 "이재명 지사가 다 알고 계신다"면서 스마트팜 비용 500만달러 대납을 독려했다고 김 전 회장이 진술했다는 것.
검찰은 또 쌍방울의 스마트팜 비용 대납 전후 이 전 부지사 중국 출장 계획서와 복귀 보고서 내용을, 이 대표가 쌍방울의 스마트팜 비용 대납 사실을 알고 승인한 정황 증거로 공소장에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부지사는 복귀 후 출장 보고서에 "중국 출장에서 쌍방울 그룹 관계자와 북한측 인사를 만나 황해도 스마트팜 사업과 도지사가 기업고찰단의 방북에 동행하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적었고 신명섭 전 경기도 평화협력국장, 김 전 회장, 안부수 아태평화교류협회장, 송명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실장 등과 술을 마시며 함께 어울린 사진도 첨부했다.
특히 이 전 부지사는 이 대표 방북 가능성에 대한 언론 질문에 "그렇다. 다만 정치인의 경비는 벌크 캐쉬(뭉칫돈) 한도가 있다", "물 밑에서는 지속적으로 협상을 해왔다", "내년 개성 관광 재개와 맞물려 조심스럽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측은 "이 대표가 대북송금을 보고 받거나 승인한 물증도 없다"면서 "검찰이 관련자 진술을 자의적으로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