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4월 식목일 나무심기 행사에서 오승록 구청장이 참여했다. (사진=노원구청 제공) |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서울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표 정책 중 하나로 ‘10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에 따라 구는 생활권 내 유휴 공간에 조성할 ‘생활숲’ 대상지를 오는 9월12일까지 공모하며, 나무 식재는 식재에 적합한 가을철인 10월부터 11월 사이에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주민이 직접 나무를 심고 가꾸는 참여형 탄소중립 실천 사업으로, 구는 이를 통해 도시 전역에 탄소흡수 기반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생활숲 조성 대상지는 아파트 단지,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등 주민 생활권에 있는 유휴 공간이다. 신청은 해당 공간의 관리책임자가 할 수 있다. 숲 조성을 위해서는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조성 후에는 5년간 유지관리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 단기 조경이 아닌, 지속가능한 녹지공간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조건이다.
대상지 선정은 공공성과 접근성, 탄소저감 효과, 주민참여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한다.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경관 개선과 휴식 기능이 높으며, 탄소흡수에 적합한 수종이 포함돼야 한다. 특히 조성부터 유지·관리까지 주민 참여 가능성이 중요한 평가 항목이다.
앞서 구는 지난해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 주관한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에서 수도권 자치구 중 유일하게 최종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를 계기로 구는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적극 발굴·추진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100만 그루 나무심기'는 구민의 참여와 실천을 기반으로 한 핵심 과제로 꼽힌다.
사업 대상지는 현장조사 및 ‘노원구 도시숲 등의 조성?관리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된다.
오승록 구청장은 “생활숲 조성은 구민이 일상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일”이라며 “10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통해 탄소흡수 기반을 넓히고, 구민과 함께 탄소중립 선도도시로서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