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부작용' 사망 위로금 최대 3000만원

    코로나19 / 여영준 기자 / 2023-09-06 15:16:33
    • 카카오톡 보내기
    당-정, 협의회 열어 대상·규모 대폭 상향키로
    제도 시행 전 '사인불명'도 최대 2000만원 지급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숨졌으나 부검에서 '사인불명'으로 나온 사망자에 대한 위로금이 1000만원에서 최대 3000만원으로 늘어난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6일 오전 국회에서 '코로나19 백신접종 부작용 피해보상' 관련 협의회를 열었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이날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망위로금의 지급 대상과 규모를 대폭 상향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협의회 후 브리핑에서 "당정은 국정과제인 백신이상반응 국가책임 강화를 더욱 충실하게 이행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2022년 7월 신설된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의 대상과 규모를 확대한다.

    사인불명 위로금은 접종 후 42일 이내에 사망하고 부검 결과 사인이 불명인 사례에 대해 지급하는 위로금이다. 지급액은 1000만원으로, 지금까지 56명에게 지급됐다.

    앞으로는 사인불명 위로금 대상이 예방접종 후 42일 내 사망자에서 90일 내 사망자로 확대되고, 위로금도 최대 3000만원으로 상향된다.

    또 제도가 시행되기 이전에 사망하고 부검을 실시하지 않은 사례에 대해서도 사망진단서상 직접 사인이 불명인 경우엔 최대 2000만원까지 위로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간 근접 사망' 등에 대한 위로금도 신설된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사례 지원위원회'를 새로 구성해 예방접종 피해보상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등에서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은 기각 사례 중 접종 3일 이내 사망한 경우엔 1000만원을 지원한다.

    박 정책위의장은 "당에서는 코로나라는 미증유 위기 상황에서 국가를 믿고 백신을 맞은 국민에게 국가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줄 것을 강조했고 정부도 적극 수용해서 사망위로금 대상을 늘리고 금액도 올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기존 피해보상 신청자 중 보상·지원 대상에 해당하지 않았던 사망사례에 대해서 별도 신청 없이 이번에 확대된 지원 기준을 적용해 새로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최종 지원대상으로 결정되면 지자체를 통해 지원금 신청을 안내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