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준 서초구의원, “양재AI특구 체계적 정책 설계 필요··· AI 산업 업무전담 조직 신설해야”

    의정활동 / 박소진 기자 / 2025-07-02 15:17:31
    • 카카오톡 보내기
    구정질문
    성공적 정착 4개 전략 제안
    ▲ 제341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이형준 의원이 구정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서초구의회 제공)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서울 서초구의회(의장 고선재)는 제342회 제1차 정례회에서 구정질문을 통해 양재AI특구의 당면 과제와 정책 방향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최근 열린 제2차 본회의에서는 이형준 의원이 ‘양재AI특구의 분야별 과제’를 주제로 일괄질문에 나섰고, 제3차 본회의에서 이에 대한 전성수 구청장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번 질의를 통해 양측은 양재AI특구의 성공적 정착과 지속 가능한 성장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름뿐인 특구’가 아닌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정책 추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AI특구는 국가 디지털 경쟁력의 핵심 거점이자 서초구 백년대계의 출발점”이라며 초기 단계부터 체계적인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전 구청장도 “초기 5년이 결정적”이라며, 특구가 서울을 넘어 국가디지털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점검과 정책 보완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특구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네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AI 산업 업무 전담 조직 신설 ▲맞춤형 AI 교육 고도화 ▲자생력을 갖춘 인프라 구축 ▲특구 외연 확장 및 주민 공존 방안 등이다.

    우선 특구 내 복합적 행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 조직의 필요성을 언급했고, AI 교육과 관련해선 전 세대를 아우르는 ‘AI 전 생애주기 교육 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AI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 초등학생 대상 방과후 AI 교육 도입, 중장기 교육 인프라 구축 계획 등을 질의했다.

    또한 자립형 인프라 확보를 위해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안정적인 전력 공급 체계 마련 등 ‘서초형 AI 전력 인프라 마스터플랜’ 수립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는 특구 외연 확장 시 그린벨트 해제에 대한 주민 우려를 해소하고, 공익적 활용을 통한 ‘AI 산업벨트’ 구상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전 구청장은 이에 대해 AI 특구 안착을 위한 정책 및 집행 체계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전담 조직 신설은 향후 발전 상황에 따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교육 분야에 대해서는 평가체계 구축, 민간 전문가 협업, 관련 조례 제정 등을 통해 중장기 교육 인프라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는 기술적·재정적 한계를 고려해 민간 협력을 통한 단계적 자립 인프라 확충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