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법무부가 집행유예 기간 중인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대표이사 취임을 불허한 건 정당하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1부(주심 노태악 대법관)는 27일 박 회장이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낸 취업 불승인 처분 취소 소송을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이 취업 제한 기간으로 정한 '집행유예 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은 기간이 끝나는 시점을 규정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집행유예 기간은 취업 제한 기간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특경가법상 배임 혐의로 2018년 11월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확정받았다.
박 회장은 집행유예 기간인 2019년 3월 금호석화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하지만 법무부는 박 회장의 취업을 승인하지 않았다.
특경가법 14조 1항은 5억원 이상 횡령·배임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취업을 제한하도록 하면서 그 기간을 '징역형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부터 5년', '징역형의 집행유예 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 '징역형의 선고유예 기간'으로 정했다.
법무부는 이 조항을 근거로 박 회장이 형을 확정받은 2018년 11월 취업 제한이 시작한다고 판단했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소송을 제기했다.
1심 재판부는 법무부의 취업 제한 판단이 옳다고 보고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반면, 항소심은 "취업제한 기간에 집행유예 기간을 포함하도록 해석할 수는 없다"며 "피고가 원고에게 내린 취업 불승인 처분을 취소한다"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