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공공저작물 개방해 민간소득 창출

    호남권 / 황승순 기자 / 2022-12-15 15:47:59
    • 카카오톡 보내기

    시ㆍ군 캐릭터 제품ㆍ영상 등 큰 호응

    [남악=황승순 기자] 전남도가 올 한해 도와 22개 시ㆍ군이 자체 보유 공공저작물을 적극 개방해 민간에서 자유롭게 활용토록 함으로써 도민 편의를 제공하고 소득 창출에도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공공저작물이란 국가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업무상 작성해 공표한 저작물이나 계약에 따라 저작재산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유한 저작물이다.

    공공저작물에는 이용 조건에 따라 공공저작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공공누리마크가 붙어 있다.

    개방유형(1~4유형)에 따라 출처표시, 상업용 금지, 변경 금지 등 이용조건을 지켜야 한다.

    도와 시ㆍ군에서는 지역캐릭터 및 상표이미지(BIBrand Identity)를 개방해 민간에서 자유롭게 활용토록 했다. 그 결과 캐릭터상표이미지를 활용한 제품 판매로 이어져 민간 이익 창출로 확대됐다.

    실제로 여수에서 섬섬여수옥수수 지역캐릭터를 이용해 7개 업체에서 12개 품목의 상품을 개발, 올 한해에만 약 19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보성에서는 지역특산품 캐릭터(BS 삼총사)를 활용한 유튜브를 제작해 30일 만에 3000여회의 조회 수를 기록하는 등 지역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순천에서는 지역캐릭터를 활용한 증강현실 도보 안내 도우미 앱을 개발하고, 곡성에서는 지역캐릭터를 활용한 야간형 실감 가상현실(VR)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활용함으로써 지역관광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도는 ‘2022~2023 전남방문의 해’ 상표이미지를 각인한 티셔츠, 머그컵, 마스크 등 5만개의 굿즈 상품을 배포하고, 현재 도내 업체가 생산한 제품에 상품 라벨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도와 시ㆍ군은 저작권을 보유한 사진영상 및 근대고대 역사문화 자료를 개방해 도민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도의 ‘마한역사문화 기록보관소’, 목포의 목포 근대역사 자산 아카이브 자료를 개방해 대학 등에서 학술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무안에서는 무안 관광사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1049건을 개방했으며, 화순군은 경관사진 100여점을 홈페이지에 개방해 민간에서 자유롭게 내려받아 활용토록 했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도와 시ㆍ군이 보유한 양질의 저작물을 민간에서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적극적으로 개방해 도민 소득 창출에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