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치료제 94만명분 추가··· 임시선벌진료소 확충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코로나19 재유행이 급속히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가 4000여 병상을 더 확보하는 등 추가 재유행 대책을 발표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정점 시기의 확진자 수가 30만명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13일 여름철 재유행 대비 방역·의료대응 방안을 마련해 발표했으나 재유행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날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
당시 정부는 하루 확진자가 20만명까지 발생할 것에 대비하겠다고 밝혔으나, 최근 추세로 미뤄 하루 확진자가 30만명 내외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방역·의료대응 역량을 보완하기로 했다.
이 총괄조정관은 오미크론 세부계통 BA.5 변이 확산세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며 "지난주 BA.5 검출률이 52%로 사실상 우세종화됐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가 확보한 병상은 5699개로, 25.3% 가동률을 기록해 아직은 여유가 있다. 이 정도로는 하루 15만명 발생까지 대응 가능하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앞서 정부는 20만명 발생에 대비해 1400개 병상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는데, 하루 확진자 30만명 수준에 대응하려면 코로나19 치료 병상이 4000여개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정부는 첫 조치로 이날 전국에 1435개 병상을 추가로 가동하기 위해 병원들에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 가운데 준중증 병상이 778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기일 총괄조정관은 "병원들에 일주일 내로 즉시 가동할 수 있는 병상을 준비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준비가 완료된 병원부터 순차적으로 감축했던 병상을 다시 가동하고, 이후 추가 확충은 병상가동률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또 중등증 환자나 기저질환 확진자가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외에도 기존에 다니던 병원에서 진료받고 입원할 수 있는 자율입원 의료기관을 지속해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8월 첫째 주 중에는 응급실 병상 현황을 구급대가 실시간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상황판을 개선해 재유행에도 확진자와 비확진 응급환자 모두 24시간 이송·진료가 가능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하루 15만명 이상 확진자가 발생하면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지역상황실을 가동해 코로나 응급환자 전원 업무지원을 시행한다는 게 중대본의 설명이다.
또한 정부는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염 위험을 선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오는 25일부터 접촉면회를 중단하는 등 강화된 방역 관리를 적용한다. 대면면회는 비접촉 대면면회로 전환한다.
아울러 정부는 코로나19 먹는치료제 94만2000명분을 추가로 구매하는 방안을 이달 중 추진한다. 현재 치료제 재고량은 77만3000명분으로, 하루 20만명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루 30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지금의 2배로 더 많이 처방해도 오는 10월까지 대응할 수 있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34만2000명분, 오는 2023년 상반기 60만명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난 18일 기준 전국 4곳으로 줄었던 임시선별진료소도 단계적으로 다시 확충한다. 확진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수도권 지역에 55개, 비수도권 지역에는 15개의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운영한다. 확진자가 급증하면 전국 시군구로 임시선별검사소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만 시행 중인 주말 검사 시간 연장도 확대 추진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