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2이상 지역엔 안내문자
새 조기경보체계로 발령 단축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12월부터 지진이 발생해도 흔들림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지역에는 큰 경보음이 울리는 '지진 긴급재난문자'가 더 이상 발송되지 않는다.
기상청은 4일 " 내달부터 육지에서 규모 3.5∼4.9 지진(해역은 규모 4.0∼4.9)이 일어나 최대 예상 진도가 5 이상인 경우 예상 진도가 3 이상인 시군구엔 긴급재난문자, 예상 진도가 2인 시군구에는 안전안내문자를 발송한다"고 밝혔다.
현재는 같은 상황에서 예상 진도가 2 이상인 모든 시군구에 긴급재난문자가 전송되고 있다.
진도는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의 세기'를 뜻하며, 진앙지와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진다. 
진도 2는 ‘조용한 곳이나 건물 위층에서 일부만 진동을 느끼는 정도’, 진도 3은 ‘실내의 사람이 뚜렷한 흔들림을 느끼고 정차한 차량이 약간 움직이는 수준’이다.
진도 4는 ‘실내 대부분이 흔들림을 느끼며 일부가 잠에서 깰 정도’, 진도 5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유리나 그릇이 깨지는 수준’으로 구분된다.
이 같은 발송 기준 조정은 “실제 흔들림이 없는데도 큰 경보음 때문에 깜짝 놀랐다”는 민원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월7일 오전 2시35분쯤 충북 충주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진앙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도 긴급재난문자가 울리며 개선 요구가 커졌다.
긴급재난문자는 40데시벨(dB) 수준의 경보음을 동반하지만, 안전안내문자는 일반 문자 수신음과 동일하다. 사용자가 진동이나 무음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직후 관측소 인근에서 관측된 자료로 인해 지진 규모가 과도하게 산정되는 문제를 막기 위한 개선책도 추진한다. 일정 거리 내의 관측 자료는 진앙 추정에만 활용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내년부터는 관련 기술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충주 지진 당시 자동 분석 시스템은 지진파 중 속도가 빠른 P파만으로 규모를 4.2로 추정해, 예상 진도 2 이상인 177개 시군구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다.
그러나 이후 S파가 포함된 추가 분석 결과 실제 규모는 3.1로 낮게 조정됐다. 리히터 규모 1.1 차이는 이론상 위력 약 44배의 차이를 의미한다.
지진이 지진계와 불과 7㎞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하면서 기상청 자동 분석 시스템이 P파와 후속으로 도달한 S파를 제대로 분리하지 못한 점이 규모 과도 추정의 원인으로 꼽혔다.
또한 기상청은 원자력발전소와 철도 등 36개 국가 주요 시설에 시범 적용 중인 ‘지진현장경보’를 기존 지진조기경보 체계와 통합해, 내년부터는 새로운 조기경보시스템을 가동할 예정이다.
현재 지진조기경보는 최초 관측 후 5∼10초 내 발령되지만, 새 체계가 적용되면 3∼5초 내로 단축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지진해일 정보 제공 방식도 강화된다.
지금까지는 기준 이상 지진해일이 ‘예상’될 때 특보를 내보냈으나, 다음 달부터는 실제 관측 시에도 특보를 발령하고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한다.
또 특보 기준 미만의 지진해일이 발생할 경우에도 단순 정보 제공에서 한 걸음 나아가 안전안내문자를 함께 보낼 예정이다.
아울러 지진해일의 상승, 하강, 종료 등 변화 추세에 따라 상세 정보를 주기적으로 발표해 국민에게 보다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