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이재명 대표 중앙대 후배로 원조 친명 핵심으로 분류되는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3선, 경기 수원병)이 10일 당헌·당규 개정안이 당 최고위원회 의결을 통과한 데 대해 “수정하면서 얻는 민주당 확장성보다 (이로 인해) 잃는 국민적 신뢰가 훨씬 크기 때문에 실익이 없다”고 작심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날 ‘동아일보’와 인터뷰에서 “(당헌당규 개정으로) 당이 더 큰 수렁으로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한 사안인데, 너무 쉽게 결정한 건 과유불급”이라며 “당헌당규 개정이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을 올리지 못한다. 대선 승리에도 도움이 되겠냐”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총선에서도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지역구) 득표율은 50% 대 45%였는데 의석수는 161 대 81로, 2배 차이가 났다. 이로 인한 착시 현상이 있는 것”이라고 민주당의 독주 행태를 우려했다.
당원권 강화를 빌미로 국회의장과 원내대표 선거에 권리당원 투표 20%를 반영하기로 한 데 대해서도 “중진들도 대부분 반대했는데, 무슨 의견 수렴을 했다는 건지 모르겠다”며 “3선, 재선, 초선 전문가 그룹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겠다고 했는데 하나도 안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권리당원이 120만 명 정도인데, (강성 당원) 1~2만 명의 요구 때문에 매번 당헌·바꾸면 안정적인 정당이나 수권 정당으로서 역할을 할 수가 없다. 민주주의와 민주당 퇴행을 초래할 수 있는 대단히 위험한 조항”이라며 “당헌·당규 개정 다음에는 개딸 당원들에게 뭘 줄 건가”라고 반발했다.
‘권리당원 20%는 상징적 수치일 뿐 실제 당락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지도부 해명과 관련해서도 “이 조항이 도입되면 후보자들이 어떻게 선거운동을 하겠냐”라며 “결국 김어준 박시영 이동형 등 대형 유튜버들 방송에 매일 나가서 입에 발린 소리나 하고, 그러면 올바른 정치를 하기 어려운 구조로 간다. 추미애 의원을 국회의장 만들자는 의견도 대형 유튜버들이 만들어낸 거 아니냐”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그런 걸 당원들의 의견이라고 할 수 있나?”라며 “유튜버들이 장사해 먹으려는 걸 우리가 왜 쫓아가냐”고 질타했다.
또한 김 의원은 ’부정부패로 기소 시 자동으로 직무가 정지되는 조항을 삭제‘한 데 대해서도 “평소 활동을 아주 조심하지 않으면 민주당에서 선출직 공직자가 되지 못한다는 명확한 선언이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조항”이라며 ”이런 조항을 수정하면 민주당의 도덕성과 국민적 신뢰가 크게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미 정권의 정치 탄압 등 부당한 이유가 있을 경우 당헌 80조에 의해 예외가 인정되고 있다“며 ”이번 당헌·당규 개정은 게임의 규칙을 급격하게 바꿔서 특정인에게 유리하게끔 하는 것인데 그렇게 하면 안 된다“고 거듭 반대했다.
이어 “개딸을 중심으로 투표하게 되면 개딸의 의사에 반하는 사람은 원내대표와 국회의장이 될 수 없다. 이건 민주주의의 퇴행이고 민주당의 퇴보를 가져올 수 있는 대단히 위험한 조항”이라며 “그래서 내가 반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순간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서 이렇게 민주당의 큰 틀을 깨버리면 당의 통합과 단결이 깨져 버린다”며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말은 안 하지만, 각자 열심히 의정활동 해서 원내대표도 하고 의장에도 도전하면서 자기 발전을 하려고 노력한다”며 “그 경쟁을 통해서 당이 발전하는 것인데 개딸에게 줄 서서 된다고 하면 누가 땀 흘려서 열심히 일하겠냐”고 지적했다.
이 대표 연임에 대해서도 “당 대표를 연임하려면 사퇴해야 하는데 (현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는 이 대표는) 사전 선거운동을 하는 것”이라며 “그간 국회의장도 당 대표도 한 번 더 하고 싶지 안 하고 싶었겠나. 정치적 불문율에 따라 연임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런 게 지금은 다 무너졌다”고 성토했다.
’당헌·당규 개정과 별개로 이 대표의 연임을 반대한다는 뜻이냐‘는 질문에는 “그것도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입장”이라며 “하기 힘든데 주변에서 하라고 하니까 한다, 이런 논리로 연임은 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이 대표 주변 초선 중에 충성파가 너무 많다. 생각도 없이 좋다고만 한다”며 “이럴수록 공개적인 논쟁과 토론이 필요하다. 이 대표와 개인적으로 논의해서 수정하고 할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당) 방향은 이 대표와 민주당의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