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교통사고 1년 새 45% 급증…“예견된 사고”
김 의원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인용해 “2023년 구리시 어린이 교통사고는 29건(부상자 36명), 2024년에는 42건(부상자 50명)으로 1년 새 45% 이상 증가했다”며, 어린이 교통사고가 급증한 현실을 지적했다.
특히 최근 3년간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 내 시설은 지속적으로 확충되면서 사고가 감소하는 추세지만, 학원가가 밀집한 상업지역에서는 오히려 사고가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어린이보호구역에는 예산과 사업이 집중돼 사고가 줄었지만, 방과 후 아이들이 몰리는 학원가는 법적 보호도, 안전설비도 전혀 없는 실정”이라며, 학원가·상업지역에 대한 교통안전시설 강화 대책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에 대해 교통행정과는 신속한 추진 의지와 검토 약속을 내놨다.
“청소년은 정책 사각지대”…중·고등학교 통학로 개선도 촉구
김 의원은 “구리시에 통학로 안전 관련 조례로는 ‘어린이 통학로 교통안전을 위한 조례’와 ‘구리시 보행권 확보와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조례’가 있지만, 대부분의 통학로 개선사업이 초등학교에만 국한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행권 조례에는 모든 학교의 통학로 개선을 명시하고 있음에도, 중·고등학교 주변은 사실상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청소년까지 포함한 교통안전 종합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해당 부서로부터는 검토 및 반영 의사를 확인받았다.
갈매지구 택시정류장 ‘전무’…교통 인프라 불균형도 문제
김 의원은 갈매동 내 택시정류장이 단 한 곳도 설치되지 않은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갈매지구가 조성된 지 7년이 지났지만, 현재까지도 택시정류장 하나 설치되지 않았다. 택시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간주돼야 하며, 교통약자의 접근성과 지역 균형을 위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교통행정과장으로부터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이끌어냈다.
구리시,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지속…학원가·상업지역 대책 시급
구리시는 최근 몇 년간 어린이보호구역 내 방호울타리 교체,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 미끄럼방지 포장 등 안전시설 정비에 예산을 투입해왔다. 하지만 어린이보호구역 외 상업지역, 학원가 등 법적 보호가 미치지 않는 곳에서 사고가 오히려 늘고 있어, 실질적인 교통안전 사각지대 해소와 중·고등학생까지 아우르는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구리시가 교통안전 정책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모든 아이들이 안전하게 통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