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공무원연금제도 개혁과 관련, 행자부와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실무부서가 공동 참여하는 태스크포스 형태의 공무원연금 제도개선 실무작업단을 구성,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고 1일 밝혔다.
제도개선단은 행자부 인사국장을 단장으로 행자부와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관계자가 참여, 총괄지원팀, 제도연구1팀, 제도연구2팀, 후생복지연구팀 등 4개팀으로 구성됐다.
제도연구1, 2팀은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의 핵심인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연계방안은 물론 연금 수급권자의 소득심사제 도입, 장기 재정 추계방안 설정 등 다양한 개선책을 연구한다.
또 후생복지팀은 공무원 재해보상제도와 공무원 일반 후생복지, 퇴직예정 공무원 지원사업 등에 대한 연구를 맡게 된다.
행자부는 내년까지 제도개선단을 운영,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무원연금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행자부는 “5년마다 필요한 제도개선에 대비하고 국민연금 개혁 과정에서 논란이 된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연계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연구기구를 구성했다”며 “공무원연금 기금의 재정균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은택 기자volk1917@siminnews.net
제도개선단은 행자부 인사국장을 단장으로 행자부와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관계자가 참여, 총괄지원팀, 제도연구1팀, 제도연구2팀, 후생복지연구팀 등 4개팀으로 구성됐다.
제도연구1, 2팀은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의 핵심인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연계방안은 물론 연금 수급권자의 소득심사제 도입, 장기 재정 추계방안 설정 등 다양한 개선책을 연구한다.
또 후생복지팀은 공무원 재해보상제도와 공무원 일반 후생복지, 퇴직예정 공무원 지원사업 등에 대한 연구를 맡게 된다.
행자부는 내년까지 제도개선단을 운영,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무원연금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행자부는 “5년마다 필요한 제도개선에 대비하고 국민연금 개혁 과정에서 논란이 된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연계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연구기구를 구성했다”며 “공무원연금 기금의 재정균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은택 기자volk1917@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