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인력 5∼10%를 민생치안 기능으로 재배치하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착수한 사실이 확인돼, 특히 보안 기능에 재편 회오리가 일 것으로 보인다.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본청과 각 지방경찰청·경찰서의 인력 5∼10%를 순찰지구대(옛 파출소)와 각 경찰서 수사과, 교통사고조사계 등에 재배치하기 위해 구조조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청이 따로 특정 부서 인원을 재배치하라고 지목하지 않고 전 기능에 걸쳐 상대적으로 업무 부담이 덜한 인력을 민생치안 기능으로 재배치하라고 지시했지만 일선 경찰서 보안과가 우선 지목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경찰청 지시를 받은 한 지방청은 “지방청·경찰서의 정보·보안 및 지원기능(경무 등) 인력의 5%를 민생치안 기능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경찰청이 각 경찰서 보안수사 기능을 본청과 지방청 보안수사대 중심으로 재편할 계획이어서 각 경찰서 보안과는 이래저래 대대적인 재편 회오리에 휘말리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 고위 간부들은 이전부터 “보안·외사 업무는 자치경찰제를 전제할 때 국가경찰의 고유업무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찰에서 본청·지방청은 국가경찰, 각 경찰서는 자치경찰로 추진하는 만큼 본청·지방청 보안수사대 중심으로 보안 업무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왔다.
이와 관련, 서울 한 경찰서 보안과 직원은 “시대의 흐름에 따를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민생치안 쪽에 가라면 근무해야겠지만 아무래도 불만이 있는게 사실이다. 그동안 자부심을 갖고 근무해왔는데…”라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서울의 다른 경찰서 보안과 관계자는 “일반 민생치안도 중요하겠지만 국가 안보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한테는 당연히 반응이 좋지 않을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남북 분단 상황에서 그렇게 하는 것(경찰서 보안과 구조조정)이 잘못된 것이고 아직은 시기 상조라고 생각하는데 (경찰이)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 같다”며 “일선 경찰서에서 빼내서 지방청 (보안수사대)에 가게 된다지만 일선 경찰서에서도 어느 정도는 보안 업무를 담당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용선기자 cys@siminnews.net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본청과 각 지방경찰청·경찰서의 인력 5∼10%를 순찰지구대(옛 파출소)와 각 경찰서 수사과, 교통사고조사계 등에 재배치하기 위해 구조조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청이 따로 특정 부서 인원을 재배치하라고 지목하지 않고 전 기능에 걸쳐 상대적으로 업무 부담이 덜한 인력을 민생치안 기능으로 재배치하라고 지시했지만 일선 경찰서 보안과가 우선 지목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경찰청 지시를 받은 한 지방청은 “지방청·경찰서의 정보·보안 및 지원기능(경무 등) 인력의 5%를 민생치안 기능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경찰청이 각 경찰서 보안수사 기능을 본청과 지방청 보안수사대 중심으로 재편할 계획이어서 각 경찰서 보안과는 이래저래 대대적인 재편 회오리에 휘말리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 고위 간부들은 이전부터 “보안·외사 업무는 자치경찰제를 전제할 때 국가경찰의 고유업무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찰에서 본청·지방청은 국가경찰, 각 경찰서는 자치경찰로 추진하는 만큼 본청·지방청 보안수사대 중심으로 보안 업무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왔다.
이와 관련, 서울 한 경찰서 보안과 직원은 “시대의 흐름에 따를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민생치안 쪽에 가라면 근무해야겠지만 아무래도 불만이 있는게 사실이다. 그동안 자부심을 갖고 근무해왔는데…”라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서울의 다른 경찰서 보안과 관계자는 “일반 민생치안도 중요하겠지만 국가 안보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한테는 당연히 반응이 좋지 않을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남북 분단 상황에서 그렇게 하는 것(경찰서 보안과 구조조정)이 잘못된 것이고 아직은 시기 상조라고 생각하는데 (경찰이)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 같다”며 “일선 경찰서에서 빼내서 지방청 (보안수사대)에 가게 된다지만 일선 경찰서에서도 어느 정도는 보안 업무를 담당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용선기자 cys@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