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개혁 경쟁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3-09-30 18:11:51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 하 승
    {ILINK:1} 정치개혁의 화두를 선점한 것은 통합신당이었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통합신당은 정치개혁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됐다.

    최근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각 당이 정치개혁을 부르짖으며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주당과 통합신당에 비해 다소 덜 개혁적이라는 지적을 받아 온 한나라당조차 지금은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당내 소장파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는 형국이다.

    우선 한나라당 소장파 의원 11명은 30일 “앞으로 정치개혁을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안기부 자금 불법전용 의혹사건에 대해 소속 의원자격으로 국민에게 사과하고 당에도 ‘선(先)사과’를 요구했다.

    남경필 오세훈 권오을 심재철 정병국 의원 등은 이날 오전 모임을 갖고 `안풍’사건과 관련, “문제의 자금이 안기부예산이 아니더라도 일단 잘못된 관행에 대해선 반성하고 국민께 사과한다”고 밝힌 후, 당에 대해서는 “먼저 국민에게 사과하고 정치개혁에 대한 약속을 해야 한다”고 선(先) 대국민 사과를 촉구했다.

    또 최병렬 대표는 최근 외신기자클럽 회견에서 “당의 배경이 되는 산업화세력의 날개 밑에 부패한 사람들, 인권탄압에 관여한 사람들, 국민이 보기에 무능한 사람들, 이런 사람들이 함께 있었던게 사실”이라며 “당은 이제 이런 것으로부터 몸을 가볍게 할 필요가 있고, 그렇게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해 대대적인 `물갈이’를 내비쳤다.

    정치개혁과 물갈이 없이는 내년 총선에서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일 것이다.

    물론 조금 늦긴 했지만 최 대표가 뒤늦게나마 그런 문제를 제기 한 것은 여간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민주당도 당 운영과 면면의 전면적인 쇄신없이는 내년 총선을 기약하기 어렵다는데 모두가 인식을 같이 하면서 정치개혁 시동걸기에 나섰다.

    실제로 인물면에서 수도권 의원들이 일부 당에 잔류하긴 했지만, 대세를 잡지 못했고, 강원과 충청권 의원 대부분은 신당행을 선택하면서 자칫 `호남 자민련’이라는 지역당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민주당은 이에 따라 사고지구당 조직책 선정때부터 전문성과 참신성을 갖춘 외부 인사 수혈에 사활을 걸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정치개혁의 화두를 통합신당에 빼앗기지 않기 위해 당내 개혁 등 개혁정책을 간판으로 내세울 가능성도 높다. 심지어 수구세력으로 지탄을 받아온 자민련도 개혁을 운운하는 마당이다.

    정우택 정책위의장은 자민련 지도체제를 대표체제로 바꿔야 한다면서 대표를 당원 경선에 의해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학원 총무는 아예 노골적으로 “총선에 대비해 당을 좀 개혁해야 한다”고 적극 호응하고 나섰다.

    어차피 내년 총선은 한나라당 통합신당 민주당 자민련 중에서 어느 당이 더 개혁적이냐 하는 평가아래 승부가 판가름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말로만 하는 개혁이 아니라 유권자들에 뭔가 보여줄 수 있는 개혁이 진행되기를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