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불법적인 정치자금을 선거에 썼다? 이건 그나마 좋다 이겁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그게 아니라 부정축재입니다”
이는 현대·SK 비자금 수사를 지휘하고 있는 안대희 대검 중수부장의 말이다.
그는 또 이런 말도 했다.
“선거 때 한 몫 챙겨서 외국에 빌딩도 사고 자식들에게도 물려주고 그러는데 이거야말로 축재가 아니냐. 정밀 조사를 해보면 수사 팀도 분개할 때가 많다”
언 듯 시민단체 관계자의 말처럼 들리는 이런 말이 바로 대검 중수부장의 입을 통해서 나왔다는 사실은 가히 충격적이다.
그가 이처럼 단호하게 말하는 것을 볼 때 분명히 이번 수사에서도 정치인들의 부정축재 단서가 포착됐을 것이라고 짐작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기자들은 안 중수부장이 말하는 부정축재자가가 누구일까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물론 안 중수부장은 “일부 정치인의 부정한 자금 수수 규모가 수백억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 이 돈의 일부가 개인적 축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개연성을 얘기한 것이지 특정 정치인을 지칭한 것은 아니었다”고 말하고 있으나, 그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기자는 없다.
그리고 사실 그가 누구냐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한 문제도 아니다.
검찰 관계자들이 분개할 만큼 정치자금을 빙자한 부정축재가 횡행했다면 이는 마땅히 발본색원해야할 정치권 전체의 문제인 까닭이다. 단순히 어떤 정치인 한 사람을 처벌하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재신임 결단의 단초를 제공한 SK 비자금 문제는 통합신당 이상수 의원,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한나라당 최돈웅 의원 등 여야 정치권 모두가 직간접으로 관여된 문제다.
이미 최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은 구속영장실질심사를 포기해 16일 새벽 구속이 결정된 상태다.
따라서 비리가 드러난 만큼 그가 누구든 처벌은 불가피 하며, 정치권 역시 이를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즉 청와대뿐만 아니라 모든 정당들이 자성하고 깨끗한 정치를 실현하는 새 출발의 전기로 삼아야 한다는 말이다.
안 중수부장의 말처럼 정치권이 이처럼 합법을 위장한 부정축재로, 갈라먹기로 정치자금을 모으는 짓을 연중행사 하듯이 매번 선거 때마다 하고 있다면, 이는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문제를 그냥 ‘어물쩍’ 덮어두고 간다면 정치권에서 풍기는 ‘부정축재’ 악취로 인해 온 사회 전체가 썩은 냄새로 진동할지도 모를 일이다.
총수지배구조의 핵심이 되고 있는 재벌그룹의 편법적 지주회사화 방지방안, 상속·증여세 완전포괄주의도입을 통한 경영권세습 차단방안이 경제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것은 바로 그 일환이다.
하물며 여야를 불문하고 개혁을 주창하는 정치권이 경제계의 개혁을 따라가지 못한대서야 어디 말이나 될 법한 일인가.
이는 현대·SK 비자금 수사를 지휘하고 있는 안대희 대검 중수부장의 말이다.
그는 또 이런 말도 했다.
“선거 때 한 몫 챙겨서 외국에 빌딩도 사고 자식들에게도 물려주고 그러는데 이거야말로 축재가 아니냐. 정밀 조사를 해보면 수사 팀도 분개할 때가 많다”
언 듯 시민단체 관계자의 말처럼 들리는 이런 말이 바로 대검 중수부장의 입을 통해서 나왔다는 사실은 가히 충격적이다.
그가 이처럼 단호하게 말하는 것을 볼 때 분명히 이번 수사에서도 정치인들의 부정축재 단서가 포착됐을 것이라고 짐작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기자들은 안 중수부장이 말하는 부정축재자가가 누구일까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물론 안 중수부장은 “일부 정치인의 부정한 자금 수수 규모가 수백억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 이 돈의 일부가 개인적 축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개연성을 얘기한 것이지 특정 정치인을 지칭한 것은 아니었다”고 말하고 있으나, 그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기자는 없다.
그리고 사실 그가 누구냐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한 문제도 아니다.
검찰 관계자들이 분개할 만큼 정치자금을 빙자한 부정축재가 횡행했다면 이는 마땅히 발본색원해야할 정치권 전체의 문제인 까닭이다. 단순히 어떤 정치인 한 사람을 처벌하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재신임 결단의 단초를 제공한 SK 비자금 문제는 통합신당 이상수 의원,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한나라당 최돈웅 의원 등 여야 정치권 모두가 직간접으로 관여된 문제다.
이미 최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은 구속영장실질심사를 포기해 16일 새벽 구속이 결정된 상태다.
따라서 비리가 드러난 만큼 그가 누구든 처벌은 불가피 하며, 정치권 역시 이를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즉 청와대뿐만 아니라 모든 정당들이 자성하고 깨끗한 정치를 실현하는 새 출발의 전기로 삼아야 한다는 말이다.
안 중수부장의 말처럼 정치권이 이처럼 합법을 위장한 부정축재로, 갈라먹기로 정치자금을 모으는 짓을 연중행사 하듯이 매번 선거 때마다 하고 있다면, 이는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문제를 그냥 ‘어물쩍’ 덮어두고 간다면 정치권에서 풍기는 ‘부정축재’ 악취로 인해 온 사회 전체가 썩은 냄새로 진동할지도 모를 일이다.
총수지배구조의 핵심이 되고 있는 재벌그룹의 편법적 지주회사화 방지방안, 상속·증여세 완전포괄주의도입을 통한 경영권세습 차단방안이 경제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것은 바로 그 일환이다.
하물며 여야를 불문하고 개혁을 주창하는 정치권이 경제계의 개혁을 따라가지 못한대서야 어디 말이나 될 법한 일인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