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 정객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도쿄도 지사는 입만 열면 망언이다.
그는 지난 28일 “한일합방은 조선인의 총의(總意)로 일본을 선택한 것”이라며 “시비를 가린다면 (조선인) 선조의 책임”이라고 했다.
심지어 그는 “식민지주의라고 해도 좀 더 선진화된 것이었기 때문에 인간적이었다”는 치욕적인 말까지 서슴지 않았다.
그는 지난 2001년을 뜨겁게 달궜던 우익단체인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직간접적으로 후원했던 인물로 애초부터 그런 부류의 인간이기 때문에 새삼 문제삼을 것도 없이 무시하면 그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이같은 망언이 지금이 처음은 아니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필자는 지난 6월 노무현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앞두고 “창씨개명은 조선인이 원한 것이었다”는 아소 다로(麻生太郞) 당시 자민당 정조회장(현 총무청 장관) 망언과 7월 “한일합방은 국제연맹이 승인한 것으로 일제 식민지 지배는 정당하다”고 한 에토 다카미(江藤隆美) 전 의원의 망언을 결코 잊을 수가 없다.
이런 망언이 연이어 터져 나오는 것은 일제의 과거사를 미화하는 분위기가 용인될 만큼 일본 사회 전체가 보수화됐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으로 이를 견제하지 않을 경우, 이같은 망언은 확대 재생산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실제로 일본은 자위대의 영역확대, 유사법제 입법화, 대북 강경론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신보수·우경화를 향해 치닫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는 이런 사태를 방치하고 있다.
실제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6월 일본 국빈방문 때 “과거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작정했다”며 가급적 말을 아꼈던 일이 있다. 물론 우리 정부가 경제문제 등 비역사적인 부분에 대한 일본과의 우호협력관계를 고려해 비교적 `관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이런 정부의 어정쩡한 태도가 일본 보수 정객들의 ‘도발’을 부추기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중국은 야스쿠니(靖國)신사를 계속해서 참배하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중국 방문을 2년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또 기회있을 때마다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져달라고 일본에 대해 압력을 가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중국처럼 일본에 압력을 행사할 필요가 있다.
식민주의 책임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커녕, 침략사실마저 미화·왜곡시키려는 일본인들의 망언을 더 이상 묵과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외교부가 29일 “일본의 책임있는 정치인이 그릇된 역사관을 바탕으로 시대역행적 발언을 한 것은 참으로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며 유감을 표시했으나, 이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과거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 없이는 진정한 한일 양국관계 발전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점을 일본인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보다 단호한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그는 지난 28일 “한일합방은 조선인의 총의(總意)로 일본을 선택한 것”이라며 “시비를 가린다면 (조선인) 선조의 책임”이라고 했다.
심지어 그는 “식민지주의라고 해도 좀 더 선진화된 것이었기 때문에 인간적이었다”는 치욕적인 말까지 서슴지 않았다.
그는 지난 2001년을 뜨겁게 달궜던 우익단체인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직간접적으로 후원했던 인물로 애초부터 그런 부류의 인간이기 때문에 새삼 문제삼을 것도 없이 무시하면 그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이같은 망언이 지금이 처음은 아니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필자는 지난 6월 노무현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앞두고 “창씨개명은 조선인이 원한 것이었다”는 아소 다로(麻生太郞) 당시 자민당 정조회장(현 총무청 장관) 망언과 7월 “한일합방은 국제연맹이 승인한 것으로 일제 식민지 지배는 정당하다”고 한 에토 다카미(江藤隆美) 전 의원의 망언을 결코 잊을 수가 없다.
이런 망언이 연이어 터져 나오는 것은 일제의 과거사를 미화하는 분위기가 용인될 만큼 일본 사회 전체가 보수화됐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으로 이를 견제하지 않을 경우, 이같은 망언은 확대 재생산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실제로 일본은 자위대의 영역확대, 유사법제 입법화, 대북 강경론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신보수·우경화를 향해 치닫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는 이런 사태를 방치하고 있다.
실제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6월 일본 국빈방문 때 “과거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작정했다”며 가급적 말을 아꼈던 일이 있다. 물론 우리 정부가 경제문제 등 비역사적인 부분에 대한 일본과의 우호협력관계를 고려해 비교적 `관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이런 정부의 어정쩡한 태도가 일본 보수 정객들의 ‘도발’을 부추기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중국은 야스쿠니(靖國)신사를 계속해서 참배하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중국 방문을 2년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또 기회있을 때마다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져달라고 일본에 대해 압력을 가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중국처럼 일본에 압력을 행사할 필요가 있다.
식민주의 책임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커녕, 침략사실마저 미화·왜곡시키려는 일본인들의 망언을 더 이상 묵과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외교부가 29일 “일본의 책임있는 정치인이 그릇된 역사관을 바탕으로 시대역행적 발언을 한 것은 참으로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며 유감을 표시했으나, 이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과거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 없이는 진정한 한일 양국관계 발전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점을 일본인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보다 단호한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