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구청장께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3-11-22 18:04:04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 하 승
    {ILINK:1} 지금 정부는 지방분권을 통해 완전한 지방자치를 실현하려고 애쓰고 있다. 과거 자치단체의 준비가 덜 돼 지원을 할 수 없다는 중앙정부의 시각이 점차 교정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참여정부는 지방분권을 논의하면서 지역언론에 대한 지원방안도 함께 모색하고 있다. 지역언론의 부재가 곧 지방자치의 부재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방지는 집행부와 지방의회, 시민단체 등과 함께 지방분권의 한 축을 떠맡고 있다. 이런 사실을 익히 알고 있는 국회에서도 김성호 의원 등 의식 있는 31명의 여야의원들이 ‘지역신문지원발전법안’을 입법발의하고 나선 상태다.

    이처럼 중앙정부나 국회가 ‘지방분권 실현’을 위해 지역신문지원방안을 모색하는 현상은 매우 바람직하다.

    그런데 정작 지방지 지원에 앞장서야 할 자치단체는 오히려 지방지를 외면하고 있으니 어찌된 일인가. 지방분권의 실현을 위해 지방지의 육성은 필연적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터인데 왜 그럴까.

    한마디로 두렵기 때문이다.

    건전한 지방지가 육성되면 지방지는 집행부와 지방의회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을 것이다. 따라서 엉터리 같은 행정이나 의정을 전개할 수 없게 된다.

    실제로 비리가 많은 단체장일수록, 건전한 지방지가 육성되는 것을 꺼린다. 그들은 심지어 사이비지방지와 결탁하는 일까지 서슴지 않는다.

    모 구청장의 행위가 그 반증이다.

    모 구청장은 몇 번의 판공비 공개로 제법 언론을 타고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 실체를 알고 보면 한낱 보여주기 위한 쇼에 지나지 않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런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게 바로 시민단체와 지방지다. 그래서 그는 서울·수도권지역 유일의 지방지인 시민일보가 마냥 두려운 것이다.

    어쩌면 그는 우리 시민일보와 같이 건전한 지방지가 고사하기만을 학수고대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실제로 그는 출입기자가 같은 호남출신이라는 이유하나만으로 사이비지방지와 결탁했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그는 다음 총선에 출마할 것이라고 한다. 그 사전작업으로 사이비지방지를 선택, 전폭적인 지원을 했다는 것이다. 물론 지원의 대가는 총선에 앞서 대대적인 홍보성 기사를 써달라는 것일 게다. 전국지이면서도 지방지인 것처럼 위장하고 있는 사이비지방지라면 그런 일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 시민일보에게는 그런 일이 안 통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지를 지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지원의 대가로 홍보성 기사를 써달라고 한다면 우리의 대답은 단연코 ‘노’다.

    다시 말하거니와 지방자치시대에 건전한 지방지를 육성하는 것은 자신의 업적을 홍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방분권 실현이라는 대의(大義) 때문이다. 모 구청장은 지원에 조건을 달지 말고, 건전한 지방지를 지원 육성하는 일에 다른 구청과 함께 동참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