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의회와 공무원노조 강동지부의 갈등이 구의회의 서면회신으로 일단락 됐다.
이는 구의회가 구청 공무원노조에게 인사청탁 근절 등 부당압력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서면으로 답한 것이어서 향후 타 지부와 구의회에도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강동구의회는 지난 24일 회신을 통해 “귀 지부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여 의정활동에 참고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다음날 열린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윤규진(성내3) 의장이 이를 거듭 약속함으로써 사태를 종결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강동지부는 각종 인사 및 업무 청탁 등을 지양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지난 6일 구의회 의장단에게 전달하고 합의문 작성을 요구했다. 이에 “공무원노조의 교섭대상이 될 수 없다”면서 구의회가 거부의사를 밝히자, 지부는 “비리와 전횡을 막기 위해 투쟁해 나설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내고 곧바로 의회를 비판하는 현수막을 구청과 의원회관 등에 게시했다.
오해윤 지부장은 26일 “구의회에서 수용의사를 서면으로 밝혀온 만큼 추가 행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앞으로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구의원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문제를 삼는 등 일상적 의정감시체제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박정현(둔촌2) 부의장은 “강동지부가 서면답변이라고 주장하는 ‘회신’은 공공기관이 민원인에 대해 답하는 회답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다소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한 경향이 없지 않다”고 반박,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한편 이번 사태와 관련, 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의장단의 책임 사퇴론이 제기되면서 내홍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임인택(천호3) 의원은 “구의회가 ‘비리와 부패의 온상’, ‘구제불능의 복마전’이라는 소리를 들어가면서까지 존재해야 하는가 생각하니 통탄을 금할 수 없다”면서 “지방자치의 근간을 뒤흔든 이번 사태에 대해 의장단이 구민 앞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사퇴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그는 집행부에 대해서도 “의회의 명예를 회복하는 차원에서 특별감사를 실시, 직협에서 주장하는 내용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50만 구민 앞에 결과를 소상히 밝혀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성임제(암사2) 의원은 “직협은 ‘오만과 비리로 얼룩진’ 의원의 명단은 물론 관련된 공무원을 함께 공개해 새로운 강동건설에 걸림돌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은택 기자volk1917@siminnews.net
이는 구의회가 구청 공무원노조에게 인사청탁 근절 등 부당압력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서면으로 답한 것이어서 향후 타 지부와 구의회에도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강동구의회는 지난 24일 회신을 통해 “귀 지부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여 의정활동에 참고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다음날 열린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윤규진(성내3) 의장이 이를 거듭 약속함으로써 사태를 종결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강동지부는 각종 인사 및 업무 청탁 등을 지양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지난 6일 구의회 의장단에게 전달하고 합의문 작성을 요구했다. 이에 “공무원노조의 교섭대상이 될 수 없다”면서 구의회가 거부의사를 밝히자, 지부는 “비리와 전횡을 막기 위해 투쟁해 나설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내고 곧바로 의회를 비판하는 현수막을 구청과 의원회관 등에 게시했다.
오해윤 지부장은 26일 “구의회에서 수용의사를 서면으로 밝혀온 만큼 추가 행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앞으로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구의원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문제를 삼는 등 일상적 의정감시체제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박정현(둔촌2) 부의장은 “강동지부가 서면답변이라고 주장하는 ‘회신’은 공공기관이 민원인에 대해 답하는 회답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다소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한 경향이 없지 않다”고 반박,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한편 이번 사태와 관련, 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의장단의 책임 사퇴론이 제기되면서 내홍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임인택(천호3) 의원은 “구의회가 ‘비리와 부패의 온상’, ‘구제불능의 복마전’이라는 소리를 들어가면서까지 존재해야 하는가 생각하니 통탄을 금할 수 없다”면서 “지방자치의 근간을 뒤흔든 이번 사태에 대해 의장단이 구민 앞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사퇴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그는 집행부에 대해서도 “의회의 명예를 회복하는 차원에서 특별감사를 실시, 직협에서 주장하는 내용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50만 구민 앞에 결과를 소상히 밝혀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성임제(암사2) 의원은 “직협은 ‘오만과 비리로 얼룩진’ 의원의 명단은 물론 관련된 공무원을 함께 공개해 새로운 강동건설에 걸림돌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은택 기자volk1917@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