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휘파람 소리를 배경으로 모자를 눌러쓴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모래 바람을 뚫고 서부의 한마을에 나타난다. 이 무렵, 클린트 이스트우드보다 더 멋진 서부사나이가 있었다. 그는 아브라함 링컨이 쓰던 것과 같은 실크 햇(hat)을 쓴 것이 다르다면 다르다.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 미국대륙을 가로지르는 철도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한쪽 회사는 대서양에서부터 건설을 시작했고, 다른 회사는 미 서부 샌프란시스코를 기점으로 건설을 착수했다.
서부에서 출발한 이 회사 사장은 몇 년 전 홍콩여행에서 중국인 부두 노동자를 보았다. 그 중국 노동자들이 그렇게 싼 임금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열심히 일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무릎을 탁 치며 ‘옳거니, 이 사람들을 미국 철도 건설에 투입하자’라는 그 당시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전략을 짜냈다.
그 전략은 멋지게 적중하여 동부에서 출발한 철도 건설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건설공사를 마쳤다. 그리고 광대한 역 주변을 개발함으로써 그는 엄청난 거부가 되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태리 여행도중 하나밖에 없는 16살 난 아들을 열병으로 잃게 된다. 이때 그는 오열하는 부인 앞으로 다가가 이런 말을 한다. “앞으로 캘리포니아의 모든 자녀들은 모두 우리의 자녀가 될 것이요”라고 했다. 이때 그는 대학을 설립하겠다는 멋진 결심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사람이 바로 스탠포드 대학을 설립한 스탠포드이다. 이 대학 학풍은 교수나 학생들이 새로운 이치를 알게 되면 바로 기업화하는 것이다.
200여년전 박제가, 연암 등이 그렇게 갈망하던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바로 실천한 것이다. HP(Hewlett & Packard)나 CISCO 같은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이 대학의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이 탄생시킨 것이다. 그리고 25명이나 노벨수상자를 배출했다.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이 아직까지 기록해 본적이 없는 8.2%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냈다.
미국은 이런데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 이것이 문제다. 우리를 먹여 살리는 수출주력상품은 간단하다. 휴대폰, 반도체, 컴퓨터 등이다. 다 IT계통이다.
우리 강남에 테헤란벨리에는 밤에도 불이 꺼지지 않는다. 금년 9월, 강남구청은 스탠포드 공과대학의 E-learning Center를 강남에 설치하여 실리콘벨리와 같은 실시간으로 IT정보를 스탠포드 대학으로부터 공급받게 하였다.
개원시 모집한 제1기 스탠포드 전문가 과정에는 IT업체 CEO, 금융가, 의사 등 각계 141명이 지원하여 강의내용에 호평을 받아, 성공적인 첫 걸음을 내딛었다.
내년 1월부터는 스탠포드 공과대학 학점취득 과정을 더하여 수강인원을 크게 늘일 셈이다. 또한, 내년 9월부터는 스탠포드 공과대학의 석사학위 과정을 우리 테헤란벨리의 IT전사들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이수 받을 수 있도록 할 참이다.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 미국대륙을 가로지르는 철도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한쪽 회사는 대서양에서부터 건설을 시작했고, 다른 회사는 미 서부 샌프란시스코를 기점으로 건설을 착수했다.
서부에서 출발한 이 회사 사장은 몇 년 전 홍콩여행에서 중국인 부두 노동자를 보았다. 그 중국 노동자들이 그렇게 싼 임금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열심히 일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무릎을 탁 치며 ‘옳거니, 이 사람들을 미국 철도 건설에 투입하자’라는 그 당시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전략을 짜냈다.
그 전략은 멋지게 적중하여 동부에서 출발한 철도 건설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건설공사를 마쳤다. 그리고 광대한 역 주변을 개발함으로써 그는 엄청난 거부가 되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태리 여행도중 하나밖에 없는 16살 난 아들을 열병으로 잃게 된다. 이때 그는 오열하는 부인 앞으로 다가가 이런 말을 한다. “앞으로 캘리포니아의 모든 자녀들은 모두 우리의 자녀가 될 것이요”라고 했다. 이때 그는 대학을 설립하겠다는 멋진 결심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사람이 바로 스탠포드 대학을 설립한 스탠포드이다. 이 대학 학풍은 교수나 학생들이 새로운 이치를 알게 되면 바로 기업화하는 것이다.
200여년전 박제가, 연암 등이 그렇게 갈망하던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바로 실천한 것이다. HP(Hewlett & Packard)나 CISCO 같은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이 대학의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이 탄생시킨 것이다. 그리고 25명이나 노벨수상자를 배출했다.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이 아직까지 기록해 본적이 없는 8.2%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냈다.
미국은 이런데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 이것이 문제다. 우리를 먹여 살리는 수출주력상품은 간단하다. 휴대폰, 반도체, 컴퓨터 등이다. 다 IT계통이다.
우리 강남에 테헤란벨리에는 밤에도 불이 꺼지지 않는다. 금년 9월, 강남구청은 스탠포드 공과대학의 E-learning Center를 강남에 설치하여 실리콘벨리와 같은 실시간으로 IT정보를 스탠포드 대학으로부터 공급받게 하였다.
개원시 모집한 제1기 스탠포드 전문가 과정에는 IT업체 CEO, 금융가, 의사 등 각계 141명이 지원하여 강의내용에 호평을 받아, 성공적인 첫 걸음을 내딛었다.
내년 1월부터는 스탠포드 공과대학 학점취득 과정을 더하여 수강인원을 크게 늘일 셈이다. 또한, 내년 9월부터는 스탠포드 공과대학의 석사학위 과정을 우리 테헤란벨리의 IT전사들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이수 받을 수 있도록 할 참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