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물론 모든 범죄행위는 지탄받아 마땅하다. 500원을 빼앗은 것도 강도이지만, 단돈 1원을 빼앗아도 강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 ‘대선자금’과 관련, 각 언론의 보도 행태는 너무 지나치다는 생각이다. 한나라당이 SK로부터 100억, LG 150억, 삼성 152억 수수에 이어 현대자동차로부터도 100억원을 현금으로 받은 사실이 이회창 전 총재의 핵심측근인 서정우 변호사의 진술을 통해 드러났다. 지금까지 드러난 4대 기업의 불법대선자금만 해도 모두 502억원이나 된다는 말이다.
게다가 다른 기업의 불법자금도 추가로 드러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한나라당은 마피아 뺨치는 ‘차떼기’수법을 동원해 불법대선자금을 끌어 모은 정당이다.
LG로부터는 현금이 가득 담긴 트럭을 통째로 인수하는 방법을 썼고 삼성에게는 책자 형태의 채권으로 불법 대선자금을 수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실에서 돈을 넘겨받거나 도로상에서 돈을 넘겨받은 일도 있다.
따라서 다른 기업으로부터도 돈을 받았을 가능성은 매우 농후하다.
그런데 지금, 각 언론은 이런 한나라당의 비도덕성을 공격하면서도 은근히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비리와 비중을 같이하고 있다.
실제로 불법대선자금 사건으로 궁지에 몰린 한나라당이 노무현 대통령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의 본격적인 수사를 계기로 반전을 시도하고 나서자, 대부분의 언론들이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일제히 한나라당 편들기에 나섰다. 일부언론은 여론을 의식, 노골적으로 한나라당 편들기에 나서지는 않았으나 ‘양비론’을 전개하면서 은근히 500억원과 1억원을 같은 비중으로 취급하기도 했다.
심지어 ‘한나라당에 대해선 500억여원의 불법 대선자금 규모가 드러나고 있으나, 노 대통령 측근과 열린우리당의 경우 눈에 띄는 진전이 없다’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주장을 아무런 여과과정 없이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이들의 주장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한나라당의 불법대선자금이 500억원이면 노 대통령의 불법대선자금 규모도 그 정도는 돼야 정상이라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된다.
이런 형태의 ‘양비론’은 정의가 아니다. 물론 대통령의 측근 비리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필자는 또 누구를 특별히 옹호할 생각도 없다. 특히 청와대와 우리당은 ‘한나라당은 500억원대고 우리는 1억원이니까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식으로 자위해서는 안될 것이다. 정치개혁을 주창한 집단인 만큼 국민은 다른 정파에 비해 더 많은 도덕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500억원과 1억원의 비중이 같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만일 이광재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받은돈이 노 대통령 당선 이후에 받은 것이라면 도덕적인 측면에서 보다 높은 질타를 받을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이 이회창의 500억원이나 노무현의 1억원은 모두 대통령 후보시절에 받은 돈이다. 따라서 당시 노 후보가 받은 자금은 한마디로 ‘새발의 피’다. 한나라당의 불법대선자금 소식은 국민의 심장에 비수를 꽂고 말았다. 그로 인해 흘린 피와 ‘새발의 피’가 어찌 같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요즘 ‘대선자금’과 관련, 각 언론의 보도 행태는 너무 지나치다는 생각이다. 한나라당이 SK로부터 100억, LG 150억, 삼성 152억 수수에 이어 현대자동차로부터도 100억원을 현금으로 받은 사실이 이회창 전 총재의 핵심측근인 서정우 변호사의 진술을 통해 드러났다. 지금까지 드러난 4대 기업의 불법대선자금만 해도 모두 502억원이나 된다는 말이다.
게다가 다른 기업의 불법자금도 추가로 드러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한나라당은 마피아 뺨치는 ‘차떼기’수법을 동원해 불법대선자금을 끌어 모은 정당이다.
LG로부터는 현금이 가득 담긴 트럭을 통째로 인수하는 방법을 썼고 삼성에게는 책자 형태의 채권으로 불법 대선자금을 수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실에서 돈을 넘겨받거나 도로상에서 돈을 넘겨받은 일도 있다.
따라서 다른 기업으로부터도 돈을 받았을 가능성은 매우 농후하다.
그런데 지금, 각 언론은 이런 한나라당의 비도덕성을 공격하면서도 은근히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비리와 비중을 같이하고 있다.
실제로 불법대선자금 사건으로 궁지에 몰린 한나라당이 노무현 대통령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의 본격적인 수사를 계기로 반전을 시도하고 나서자, 대부분의 언론들이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일제히 한나라당 편들기에 나섰다. 일부언론은 여론을 의식, 노골적으로 한나라당 편들기에 나서지는 않았으나 ‘양비론’을 전개하면서 은근히 500억원과 1억원을 같은 비중으로 취급하기도 했다.
심지어 ‘한나라당에 대해선 500억여원의 불법 대선자금 규모가 드러나고 있으나, 노 대통령 측근과 열린우리당의 경우 눈에 띄는 진전이 없다’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주장을 아무런 여과과정 없이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이들의 주장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한나라당의 불법대선자금이 500억원이면 노 대통령의 불법대선자금 규모도 그 정도는 돼야 정상이라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된다.
이런 형태의 ‘양비론’은 정의가 아니다. 물론 대통령의 측근 비리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필자는 또 누구를 특별히 옹호할 생각도 없다. 특히 청와대와 우리당은 ‘한나라당은 500억원대고 우리는 1억원이니까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식으로 자위해서는 안될 것이다. 정치개혁을 주창한 집단인 만큼 국민은 다른 정파에 비해 더 많은 도덕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500억원과 1억원의 비중이 같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만일 이광재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받은돈이 노 대통령 당선 이후에 받은 것이라면 도덕적인 측면에서 보다 높은 질타를 받을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이 이회창의 500억원이나 노무현의 1억원은 모두 대통령 후보시절에 받은 돈이다. 따라서 당시 노 후보가 받은 자금은 한마디로 ‘새발의 피’다. 한나라당의 불법대선자금 소식은 국민의 심장에 비수를 꽂고 말았다. 그로 인해 흘린 피와 ‘새발의 피’가 어찌 같을 수 있겠는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