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 부문에서만 8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등 2008년까지 200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길 전망이다.
정부는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민관 전문가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지도자회의’를 열고 잠재성장률 수준의 경제 성장 달성과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일자리 증가 등을 통해 2008년까지 200만개 내외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노동시장 비전을 제시했다.
정부는 매년 5%대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통해 150만개, 서비스업 등의 일자리 창출 능력 확충으로 20만~30만개, 일자리 나누기 등을 통해 20만~30만개 등 5년간 총 200만개 내외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고용 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1/4분기 중에 공공 부문 채용 인원의 52%, 상반기에는 74% 이상을 각각 충당한다는 방침 아래 경찰, 소방, 집배원, 식약품 안전요원 등의 공무원 7000여명과 공기업 2000여명을 추가로 선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성장동력 기반 확충, 일자리 나누기, 빈 일자리 채우기, 사회·복지 분야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기능 강화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계획대로 일자리가 만들어지면 경제활동 참가율은 작년의 61.4%에서 2008년에는 63% 중반으로 올라가고 고용률은 59.3%에서 61% 중반, 실업률은 3.4%에서 3% 초반으로 각각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당장 올해의 경우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에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공공 부문에서 작년보다 8만1000명이 많은 34만4000명에게 장단기 일자리와 연수, 직업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는 노사정위원회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협약’, 정부의 ‘일자리창출 종합대책’, 노사의 모범사례 발표에 이어 참석자들의 자유 토론으로 진행됐다.
/염대흥 기자 ydh@siminnews.net
정부는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민관 전문가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지도자회의’를 열고 잠재성장률 수준의 경제 성장 달성과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일자리 증가 등을 통해 2008년까지 200만개 내외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노동시장 비전을 제시했다.
정부는 매년 5%대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통해 150만개, 서비스업 등의 일자리 창출 능력 확충으로 20만~30만개, 일자리 나누기 등을 통해 20만~30만개 등 5년간 총 200만개 내외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고용 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1/4분기 중에 공공 부문 채용 인원의 52%, 상반기에는 74% 이상을 각각 충당한다는 방침 아래 경찰, 소방, 집배원, 식약품 안전요원 등의 공무원 7000여명과 공기업 2000여명을 추가로 선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성장동력 기반 확충, 일자리 나누기, 빈 일자리 채우기, 사회·복지 분야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기능 강화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계획대로 일자리가 만들어지면 경제활동 참가율은 작년의 61.4%에서 2008년에는 63% 중반으로 올라가고 고용률은 59.3%에서 61% 중반, 실업률은 3.4%에서 3% 초반으로 각각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당장 올해의 경우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에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공공 부문에서 작년보다 8만1000명이 많은 34만4000명에게 장단기 일자리와 연수, 직업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는 노사정위원회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협약’, 정부의 ‘일자리창출 종합대책’, 노사의 모범사례 발표에 이어 참석자들의 자유 토론으로 진행됐다.
/염대흥 기자 ydh@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