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기구인 중앙인사위원회가 지난 3월11일 개정된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6월12일 통합 중앙인사 관장기관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행정자치부의 인사국(연금·복무 제외), 중앙공무원교육원, 소청심사위원회의 기능이 중앙인사위로 이관되기 때문.
25일 중앙인사위의 올해 주요업무계획에 따르면 공직분류체계가 개편된다.
그동안 신분보장 여부에 따라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으로 구분돼왔던 공직분류체계도 신분보장, 근무기간, 상근 여부 등 다양한 기준으로 개편해 인사관리의 탄력성을 제고한다.
행정환경의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행정직군은 세분화하고 기술직군은 기술융합 추세를 반영하여 통·폐합하는 등 직군·직렬분류를 전면 재조정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연공과 신분에 기초한 현행 계급체계를 직무와 성과중심으로 개편해 나간다.
직급 승진외에 직위승진도 심사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사후적발,처벌위주의 인사감사를 사전 점검·지도위주로 전환한다.
또 부처 인사자율권도 확대된다.
인사위 관계자는 “전략적 인사정책 개발, 성과평가시스템 구축, 우수 인재 유치·발굴, 공무원의 능력개발·육성을 중점 추진하고 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을 통해 고위직에 대한 인적자본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며 “4급 이하 중·하위직에 대한 모든 인사집행권을 단계적으로 각 부처에 위임하는 등 부처의 인사자율권을 대폭 확대하고, 부처별 인사혁신을 선도할 `인사전담부서’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강현숙 기자db625@siminnews.net
행정자치부의 인사국(연금·복무 제외), 중앙공무원교육원, 소청심사위원회의 기능이 중앙인사위로 이관되기 때문.
25일 중앙인사위의 올해 주요업무계획에 따르면 공직분류체계가 개편된다.
그동안 신분보장 여부에 따라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으로 구분돼왔던 공직분류체계도 신분보장, 근무기간, 상근 여부 등 다양한 기준으로 개편해 인사관리의 탄력성을 제고한다.
행정환경의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행정직군은 세분화하고 기술직군은 기술융합 추세를 반영하여 통·폐합하는 등 직군·직렬분류를 전면 재조정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연공과 신분에 기초한 현행 계급체계를 직무와 성과중심으로 개편해 나간다.
직급 승진외에 직위승진도 심사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사후적발,처벌위주의 인사감사를 사전 점검·지도위주로 전환한다.
또 부처 인사자율권도 확대된다.
인사위 관계자는 “전략적 인사정책 개발, 성과평가시스템 구축, 우수 인재 유치·발굴, 공무원의 능력개발·육성을 중점 추진하고 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을 통해 고위직에 대한 인적자본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며 “4급 이하 중·하위직에 대한 모든 인사집행권을 단계적으로 각 부처에 위임하는 등 부처의 인사자율권을 대폭 확대하고, 부처별 인사혁신을 선도할 `인사전담부서’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강현숙 기자db625@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