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김창국) 예비노조가 출범한다.
인권위 예비노조는 지난 26일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 91명 중 83명의 찬성으로 예비노조 초대위원장으로 노정환(공보담당관실)씨를 선출, 내달 1일부터 집행부를 꾸려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총원 180명 중 5급 이하 148명 전원을 회원으로 `인권위 노조 준비회의’를 구성, 노조를 준비해온 인권위 직원들은 3월 148명 중 92명이 자발적으로 예비노조원으로 가입했다.
노정환 위원장은 “현재 인권위 직원들은 계약직과 별정직, 일반직, 기능직으로 4등분 돼 있고, 민간단체 출신과 부처 출신 직원이 섞여있어 서로 뭉치고 속내를 털어놓기 보다는 조심하며 관망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일단 직원들끼리 의사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을 만들고 위원장과 사무총장, 국·과장과의 대화의 자리를 마련, 위원회와 직원간, 직원과 직원간 소통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노 위원장은 예비노조의 역할에 대해 “정식 노조로의 출범을 대비해 노조활동에 필요한 공간과 준비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예비노조의 가입대상은 5급 이하 직원 전원”이라며 “5∼7급 직원들이 같은 조사관으로 서로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예전 공직 행정체계에 따라 5급 직원들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행 법에서는 공무원 노조를 허용하지 않아 `예비노조’란 `우회로’를 선택한 인권위 노조의 정식 출범은 공무원노조법의 입법이 완료된 뒤로 예상된다.
최용선기자 cys@siminnews.net
인권위 예비노조는 지난 26일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 91명 중 83명의 찬성으로 예비노조 초대위원장으로 노정환(공보담당관실)씨를 선출, 내달 1일부터 집행부를 꾸려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총원 180명 중 5급 이하 148명 전원을 회원으로 `인권위 노조 준비회의’를 구성, 노조를 준비해온 인권위 직원들은 3월 148명 중 92명이 자발적으로 예비노조원으로 가입했다.
노정환 위원장은 “현재 인권위 직원들은 계약직과 별정직, 일반직, 기능직으로 4등분 돼 있고, 민간단체 출신과 부처 출신 직원이 섞여있어 서로 뭉치고 속내를 털어놓기 보다는 조심하며 관망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일단 직원들끼리 의사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을 만들고 위원장과 사무총장, 국·과장과의 대화의 자리를 마련, 위원회와 직원간, 직원과 직원간 소통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노 위원장은 예비노조의 역할에 대해 “정식 노조로의 출범을 대비해 노조활동에 필요한 공간과 준비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예비노조의 가입대상은 5급 이하 직원 전원”이라며 “5∼7급 직원들이 같은 조사관으로 서로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예전 공직 행정체계에 따라 5급 직원들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행 법에서는 공무원 노조를 허용하지 않아 `예비노조’란 `우회로’를 선택한 인권위 노조의 정식 출범은 공무원노조법의 입법이 완료된 뒤로 예상된다.
최용선기자 cys@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