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법 위기냐 기회냐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4-06-01 19:29:13
    • 카카오톡 보내기
    고 하 승 편집국장
    {ILINK:1} 최근 유성에서 지역신문발전지원법 시행령 제정을 위한 종합 토론회가 열렸다.

    물론 지역신문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면 ‘어디에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이날의 핵심쟁점사안이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기본 조건을 갖춘 신문사에 모두 지원할 경우에는 마른 모래 위에 물을 붙는 식으로 지원의 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지원법이 ‘나눠주기’라는 비판을 받게 되고, 그렇다고 일부 소수 언론에만 지원하면 지원대상을 선정하는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게 될 것이다. 실제로 지원대상을 선정하는 일이 그리 간단치 만은 않아 보인다.

    게다가 일간지와 주간지 사이의 보이지 않는 갈등도 선정 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일간지는 주간지를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주간지는 일간지의 주재기자제도를 비방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죽하면 지역신문의 ‘등급’을 나누고 그에 따라 지원사업을 차별화하는 방안을 제시한 패널까지 있었겠는가.

    지원대상 선정은 그만큼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그보다 더 어려운 문제가 지원방법의 선택이다.

    백화점식으로 지원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인 까닭이다. 그러면 어찌해야 하는가.

    필자가 판단하기에 시행령은 어디까지나 지역신문을 잘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돼야 한다.

    물론 그렇게 만들어진 지역신문은 지역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선택해 구독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도나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다.

    지역신문법의 지원은 그런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말이다.

    실제로 지금처럼 전국지들이 지역신문시장을 잠식해 나가는 상황에서 이들의 횡포를 막지 못한다면, 지역신문법은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문시장을 왜곡하는 전국지의 마케팅 전략을 감시하는 작업에도 기금이 활용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역신문의 자정노력이 병행되지 않으면 제 아무리 정부가 지원한다고 해도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지역신문법이 효과를 발휘하는 시점에서 신문시장은 균형을 찾게 될 것이며, 독자는 필요한 뉴스를 얻고, 지역언론 종사자들은 직업적 긍지를 갖고 일하게 될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이 오히려 시장의 파이만 더 키워주는 결과를 초래, 사이비 지역신문이 기승을 부리는 지극히 위험한 사태를 초래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지역신문으로서는 이번이 마지막 호기일 수도 있다.

    이 호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라도 지역신문은 새롭게 변모하고 개혁하는 모습을 지역사회에 분명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사이비 지역신문에 발목이 잡히는 일이 없도록 지역신문들 스스로 감시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지금은 지역신문에게 있어서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최대의 기회인 동시에 사이비 지역신문의 발호를 초래할 수 있는 위기상황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