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먼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제발 살아서 돌아만 와 달라”는 국민의 열망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된 가나무역 김선일씨는 결국 23일 새벽 그들의 손에 의해 참수당하고 말았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국민에게 드리는 말씀’이라는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우리는 이런 테러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며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결심”이라고 밝혔다.
물론 노 대통령의 말처럼 무고한 민간인을 해치는 행위는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다.
테러행위는 반인류적 범죄이며, 결코 테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하게 해선 안되는 까닭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말처럼 “우리가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이라크를 재건하기 위해 너희를 도우려고 하는 데 왜 테러를 하느냐.
그래도 우리는 파병 방침을 철회하지 않고 꿋꿋하게 나아가겠다.
테러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우리 한번 냉정하게 생각해 보자.
우리는 일제강점치하라는 굴종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다.
당시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우리나라를 침략하면서 ‘조선을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웠었다.
물론 우리 민중은 그같은 도움을 원치 않았다.
실제로 우리 민중은 동학혁명군이라는 이름아래 봉기, 일본침략군과 맞서 싸웠다.
당시 동학혁명군은 일제에 의해 농민반란군으로 불리어졌음은 익히 아는 바와 같다.
이라크 민중이 원하지도 않는 파병을 ‘도와준다’는 명목으로 우리가 파병하는 것과 너무나 흡사한 상황 아닌가.
우리가 이라크로 군대를 파병하는 것이 명분이야 어떻든 그들에게 있어서는 미 침략 동맹군으로 비춰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라크 파병은 무조건 철회돼야만 한다.
지금 보수언론과 우익단체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최악의 상황에 더 이상 무엇을 망설이는가” “전쟁과는 전혀 관계없는 민간인까지 학살하는 이라크 무장세력을 당장 `응징’해야한다”는 논리로 보복선동을 조장하고 있다.
하지만 피는 또 다른 피를 부를 뿐이다.
그 아까운 청년은 우리 민족을 위해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것이 아니라 어이없게도 남의 나라 일로 희생을 당한 것이다.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치다, 대학원 진학 학비마련을 위해 이라크까지 갔는데 거기에서 비참하게 죽음을 당했으니 그 가족의 슬픔이 얼마나 컸겠는가.
바로 우리 정부의 파병 정책 때문에 그런 희생을 치른 것이다.
필자가 “이 전쟁은 명분 없는 전쟁이며, 파병으로 우리에게 돌아올 것은 전범 국가라는 낙인뿐”이라고 그토록 부르짖었건만, 정부는 결국 이라크 파병 방침을 결정하지 않았던가.
정부는 이에 따른 책임을 져야만 한다.
다시 말하지만 파병이 어떤 국익을 가져오는지 모르겠지만 무고한 국민의 희생을 담보로 얻는 국익이라면 차라리 포기하는 편이 낫다.
“제발 살아서 돌아만 와 달라”는 국민의 열망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된 가나무역 김선일씨는 결국 23일 새벽 그들의 손에 의해 참수당하고 말았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국민에게 드리는 말씀’이라는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우리는 이런 테러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며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결심”이라고 밝혔다.
물론 노 대통령의 말처럼 무고한 민간인을 해치는 행위는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다.
테러행위는 반인류적 범죄이며, 결코 테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하게 해선 안되는 까닭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말처럼 “우리가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이라크를 재건하기 위해 너희를 도우려고 하는 데 왜 테러를 하느냐.
그래도 우리는 파병 방침을 철회하지 않고 꿋꿋하게 나아가겠다.
테러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우리 한번 냉정하게 생각해 보자.
우리는 일제강점치하라는 굴종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다.
당시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우리나라를 침략하면서 ‘조선을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웠었다.
물론 우리 민중은 그같은 도움을 원치 않았다.
실제로 우리 민중은 동학혁명군이라는 이름아래 봉기, 일본침략군과 맞서 싸웠다.
당시 동학혁명군은 일제에 의해 농민반란군으로 불리어졌음은 익히 아는 바와 같다.
이라크 민중이 원하지도 않는 파병을 ‘도와준다’는 명목으로 우리가 파병하는 것과 너무나 흡사한 상황 아닌가.
우리가 이라크로 군대를 파병하는 것이 명분이야 어떻든 그들에게 있어서는 미 침략 동맹군으로 비춰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라크 파병은 무조건 철회돼야만 한다.
지금 보수언론과 우익단체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최악의 상황에 더 이상 무엇을 망설이는가” “전쟁과는 전혀 관계없는 민간인까지 학살하는 이라크 무장세력을 당장 `응징’해야한다”는 논리로 보복선동을 조장하고 있다.
하지만 피는 또 다른 피를 부를 뿐이다.
그 아까운 청년은 우리 민족을 위해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것이 아니라 어이없게도 남의 나라 일로 희생을 당한 것이다.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치다, 대학원 진학 학비마련을 위해 이라크까지 갔는데 거기에서 비참하게 죽음을 당했으니 그 가족의 슬픔이 얼마나 컸겠는가.
바로 우리 정부의 파병 정책 때문에 그런 희생을 치른 것이다.
필자가 “이 전쟁은 명분 없는 전쟁이며, 파병으로 우리에게 돌아올 것은 전범 국가라는 낙인뿐”이라고 그토록 부르짖었건만, 정부는 결국 이라크 파병 방침을 결정하지 않았던가.
정부는 이에 따른 책임을 져야만 한다.
다시 말하지만 파병이 어떤 국익을 가져오는지 모르겠지만 무고한 국민의 희생을 담보로 얻는 국익이라면 차라리 포기하는 편이 낫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