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지금 서울에서는 ‘안티 이명박’ 여론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어제 낮 12시에는 포털사이트 다음·네이버 카페 회원이라고 밝힌 10여명의 회원들이 나와 이 시장 퇴진을 위한 서명을 벌였다.
또 온라인상에서 이 시장의 국민소환 운동을 벌이고 있는 인터넷 카페 ‘이명박 서울시장 국민소환 서명운동’은 1인 릴레이 시위 등으로 활동범위를 넓혀 갈 예정이라고 한다.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잘못됐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화가 난 시민들은 청계천 복원문제며, 한 종교 행사에서 벌어진 서울봉헌 문제까지 들먹이며 이 시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필자가 생각하기에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필요한 일이었다.
물론 환경을 고려한 청계천 복원 역시 시민들의 요구사항이었던 만큼 그 자체를 질타해서는 안된다.
그런데 마치 대중교통체계 개편이나 청계천복원계획이 애초부터 불필요한 일이었던 것처럼 매도되는 현상은 안타깝기 그지없다.
물론 우리도 그동안 이 시장의 잘못을 수차에 걸쳐 지적해 왔다.
전국 언론사 가운데 우리 시민일보처럼 이 시장의 잘못된 시정을 질타한 언론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사업의 진행과정에 대한 오류와 독선을 지적한 것이었지, 사업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사실 누가 뭐라고 하든 대중교통체계개편은 필요한 일이었다. 청계천복원 사업도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이런 일을 이 시장이 추진한 것에 대해서는 누구도 비난해서는 안될 것이다.
특히 진행과정상의 잘못을 들어 혁명적으로 시행한 이 사업들을 여기에서 중단시키는 것은 더욱 곤란하다.
어차피 진행된 것이니만큼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사업이 추진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줘야한다는 말이다.
다만 이 시장은 대권욕(大權慾)으로 인해 취임 1주년과 2주년에 맞춰 무리하게 대형공사를 강행한데 대해 진실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
청계천복원공사는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 등의 지적을 무시한 채 취임 1주년인 2003년 7월1일에 공사를 강행했으며, 대중교통체계개편은 감리사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역시 취임 2주년인 2004년 7월1일에 강행하지 않았던가. 이것은 명백히 잘못된 일이었다.
아무리 명분 있는 일이라고 해도 그 진행과정이 옳지 않으면, 결코 시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없다.
이 시장도 이번 일로 많은 것을 깨달았으리라 믿는다.
오죽하면 그토록 도도한 사람이 ‘대시민사과문’까지 발표했겠는가.
그러니 이제 그만 화를 풀고 그가 시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기회를 한번 더 주어 보는 것이 어떨까.
서울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그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어제 낮 12시에는 포털사이트 다음·네이버 카페 회원이라고 밝힌 10여명의 회원들이 나와 이 시장 퇴진을 위한 서명을 벌였다.
또 온라인상에서 이 시장의 국민소환 운동을 벌이고 있는 인터넷 카페 ‘이명박 서울시장 국민소환 서명운동’은 1인 릴레이 시위 등으로 활동범위를 넓혀 갈 예정이라고 한다.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잘못됐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화가 난 시민들은 청계천 복원문제며, 한 종교 행사에서 벌어진 서울봉헌 문제까지 들먹이며 이 시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필자가 생각하기에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필요한 일이었다.
물론 환경을 고려한 청계천 복원 역시 시민들의 요구사항이었던 만큼 그 자체를 질타해서는 안된다.
그런데 마치 대중교통체계 개편이나 청계천복원계획이 애초부터 불필요한 일이었던 것처럼 매도되는 현상은 안타깝기 그지없다.
물론 우리도 그동안 이 시장의 잘못을 수차에 걸쳐 지적해 왔다.
전국 언론사 가운데 우리 시민일보처럼 이 시장의 잘못된 시정을 질타한 언론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사업의 진행과정에 대한 오류와 독선을 지적한 것이었지, 사업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사실 누가 뭐라고 하든 대중교통체계개편은 필요한 일이었다. 청계천복원 사업도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이런 일을 이 시장이 추진한 것에 대해서는 누구도 비난해서는 안될 것이다.
특히 진행과정상의 잘못을 들어 혁명적으로 시행한 이 사업들을 여기에서 중단시키는 것은 더욱 곤란하다.
어차피 진행된 것이니만큼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사업이 추진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줘야한다는 말이다.
다만 이 시장은 대권욕(大權慾)으로 인해 취임 1주년과 2주년에 맞춰 무리하게 대형공사를 강행한데 대해 진실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
청계천복원공사는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 등의 지적을 무시한 채 취임 1주년인 2003년 7월1일에 공사를 강행했으며, 대중교통체계개편은 감리사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역시 취임 2주년인 2004년 7월1일에 강행하지 않았던가. 이것은 명백히 잘못된 일이었다.
아무리 명분 있는 일이라고 해도 그 진행과정이 옳지 않으면, 결코 시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없다.
이 시장도 이번 일로 많은 것을 깨달았으리라 믿는다.
오죽하면 그토록 도도한 사람이 ‘대시민사과문’까지 발표했겠는가.
그러니 이제 그만 화를 풀고 그가 시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기회를 한번 더 주어 보는 것이 어떨까.
서울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그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