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중앙부처 고위 공무원들을 긴장시켰던 국장급 인사교류가 시행 6개월만에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과장, 사무관 등까지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가 발간한 나라경제 8월호에 따르면 중앙부처 인사교류 국장들은 기고문에서 인사교류가 변화와 개혁의 과정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과장, 사무관 등으로 확대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한결같이 주장했다.
재정경제부 소속의 장태평 농림부 농업정책국장은 “농업을 이해할 좋은 기회였다""면서 “국장급 인사교류는 그 자체가 변화와 개혁의 과정으로 반드시 확대, 발전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 국장은 “인사교류는 그 자체로 당사자는 물론 조직에도 많은 충격과 변화를 주었다""고 평가하고 “1급과 과장, 사무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업무는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판단하면 사전에 몰랐어도 큰 장애 없이 해결이 가능하지만 업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무수한 사람들의 생각하는 방식을 모른다는 점이 문제였다""고 나름대로 어려움을 토로했다.
기획예산처 소속인 배국환 행정자치부 지방재정국장은 “사회부처 직원들이 등한시하기 쉬운 경제마인드를 제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하고 “인사교류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조기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 국장은 그러나 “직원들이 불행스럽게도 나를 1~2년후에 기예처로 돌아갈 것으로 생각하고 자기들의 인사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그는 “인사교류가 정착되려면 부처 소속개념이 없이 부처를 넘나드는 제도와 관행이 정착돼야 한다""면서 “과장이나 사무관, 주사도 지금보다는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 소속의 전병성 건설교통부 수자원국장은 “환경부 수질보전국장으로 일하다 갈등관계에 있는 다른 업무를 하면서 역지사지의 정신을 배우고 있다""고 말하고 “인사교류는 유사한 업무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전 국장은 “수자원정책은 하천, 댐 등 하드웨어 관리를 주로 하다보니 환경을 보전하는 부서와 자주 부딪히게 된다""고 말하고 “건교부에 와서 합리성이 결여된 댐건설 반대로 정책추진이 매우 어렵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고 고백했다.
/염대흥 기자 ydh@siminilbo.co.kr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가 발간한 나라경제 8월호에 따르면 중앙부처 인사교류 국장들은 기고문에서 인사교류가 변화와 개혁의 과정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과장, 사무관 등으로 확대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한결같이 주장했다.
재정경제부 소속의 장태평 농림부 농업정책국장은 “농업을 이해할 좋은 기회였다""면서 “국장급 인사교류는 그 자체가 변화와 개혁의 과정으로 반드시 확대, 발전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 국장은 “인사교류는 그 자체로 당사자는 물론 조직에도 많은 충격과 변화를 주었다""고 평가하고 “1급과 과장, 사무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업무는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판단하면 사전에 몰랐어도 큰 장애 없이 해결이 가능하지만 업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무수한 사람들의 생각하는 방식을 모른다는 점이 문제였다""고 나름대로 어려움을 토로했다.
기획예산처 소속인 배국환 행정자치부 지방재정국장은 “사회부처 직원들이 등한시하기 쉬운 경제마인드를 제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하고 “인사교류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조기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 국장은 그러나 “직원들이 불행스럽게도 나를 1~2년후에 기예처로 돌아갈 것으로 생각하고 자기들의 인사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그는 “인사교류가 정착되려면 부처 소속개념이 없이 부처를 넘나드는 제도와 관행이 정착돼야 한다""면서 “과장이나 사무관, 주사도 지금보다는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 소속의 전병성 건설교통부 수자원국장은 “환경부 수질보전국장으로 일하다 갈등관계에 있는 다른 업무를 하면서 역지사지의 정신을 배우고 있다""고 말하고 “인사교류는 유사한 업무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전 국장은 “수자원정책은 하천, 댐 등 하드웨어 관리를 주로 하다보니 환경을 보전하는 부서와 자주 부딪히게 된다""고 말하고 “건교부에 와서 합리성이 결여된 댐건설 반대로 정책추진이 매우 어렵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고 고백했다.
/염대흥 기자 ydh@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