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대부분의 시·군들이 지방공무원시험의 응시자 거주지를 해당 시·군내로 제한하자 시험준비생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1일 경기도가 공고한 올 하반기 도 및 도내 30개 시·군의 지방공무원(1093명) 선발계획에 따르면 성남, 평택, 의왕, 과천을 제외한 26개 시·군이 응시자의 거주지를 해당 시·군내로 제한했다.
각 시·군들은 시험응시자격을 올 1월1일 이전부터 최종 시험일까지 주민등록상주소지 또는 본적지가 해당 시·군으로 돼 있는 자로 제한한 것이다.
이같이 응시자의 거주지가 제한되자 그동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해 온 취업준비생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이날 도청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는 이 같은 조치에 항의하는 글이 수십건 올라왔다.
한 네티즌은 2일 ‘경기도 지역제한 너무 억울하고 부당하다'라는 제목의 게시글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단 한명도 안뽑는 곳에 사는 사람은 시험도 못보고 정말 이래도 되느냐""며 “지역으로 인해 차별받고 시험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소송을 걸고 싶다""고 말했다.
다른 한 네티즌도 ‘지역제한 너무 부당하다'라는 글을 통해 “너무 황당하다""며 “지역제한을 도저히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공고문을 통해 “거주지 제한은 중복접수를 제한, 선호도 낮은 시·군의 미응시로 인한 미달 또는 합격 후 미등록으로 인한 폐단을 근절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내 시·군들이 과거 특정 직렬의 공무원 선발시 거주지 제한을 둔 적은 있으나 모든 직렬의 공무원시험 응시자 거주지를 제한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며 이 같은 거주지 제한 규정을 적용하는 시·군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난 5월 실시된 지방공무원 채용 당시에는 도내 16개 시·군만이 거주지를 관내로 제한했다.
도 관계자는 “시·군들이 응시자의 거주지를 시·군내로 제한한 것은 합격자들이 일단 경쟁률이 낮은 시·군에 지원, 합격한 뒤 계속 다른 시·군으로 전출을 희망하거나 본인이 근무를 희망하는 다른 지역 시험에 재응시, 합격할 경우 곧바로 사표를 제출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강현숙 기자 db625@siminilbo.co.kr
지난 1일 경기도가 공고한 올 하반기 도 및 도내 30개 시·군의 지방공무원(1093명) 선발계획에 따르면 성남, 평택, 의왕, 과천을 제외한 26개 시·군이 응시자의 거주지를 해당 시·군내로 제한했다.
각 시·군들은 시험응시자격을 올 1월1일 이전부터 최종 시험일까지 주민등록상주소지 또는 본적지가 해당 시·군으로 돼 있는 자로 제한한 것이다.
이같이 응시자의 거주지가 제한되자 그동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해 온 취업준비생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이날 도청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는 이 같은 조치에 항의하는 글이 수십건 올라왔다.
한 네티즌은 2일 ‘경기도 지역제한 너무 억울하고 부당하다'라는 제목의 게시글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단 한명도 안뽑는 곳에 사는 사람은 시험도 못보고 정말 이래도 되느냐""며 “지역으로 인해 차별받고 시험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소송을 걸고 싶다""고 말했다.
다른 한 네티즌도 ‘지역제한 너무 부당하다'라는 글을 통해 “너무 황당하다""며 “지역제한을 도저히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공고문을 통해 “거주지 제한은 중복접수를 제한, 선호도 낮은 시·군의 미응시로 인한 미달 또는 합격 후 미등록으로 인한 폐단을 근절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내 시·군들이 과거 특정 직렬의 공무원 선발시 거주지 제한을 둔 적은 있으나 모든 직렬의 공무원시험 응시자 거주지를 제한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며 이 같은 거주지 제한 규정을 적용하는 시·군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난 5월 실시된 지방공무원 채용 당시에는 도내 16개 시·군만이 거주지를 관내로 제한했다.
도 관계자는 “시·군들이 응시자의 거주지를 시·군내로 제한한 것은 합격자들이 일단 경쟁률이 낮은 시·군에 지원, 합격한 뒤 계속 다른 시·군으로 전출을 희망하거나 본인이 근무를 희망하는 다른 지역 시험에 재응시, 합격할 경우 곧바로 사표를 제출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강현숙 기자 db625@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