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을 예고하고 있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정부에 대화를 제의하며 `최후 통첩’을 보냈다.
민주노총은 22일 사회적 혼란을 막기위해 파업돌입 전까지 집중적인 교섭을 정부측에 제의한 뒤 만일 정부가 이를 거부할 경우 오는 26일 예정대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절박한 민중생존권을 해결하기 위한 총파업을 여러차례 공언했지만 정부당국은 아직도 사태해결의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정부가 교섭에 나설 경우 민주노총은 한국노총과 함께 임원진과 대표자를 중심으로 교섭단을 꾸리고 적극적인 교섭에 임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대화 태도에 따라서는 파업의 수위조절 등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부가 비정규직법안을 상임위에 상정하지 않는다는 구체적인 태도 표명이나 폐기 의사를 밝히지 않는 한 총파업 강행 입장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아울러 ▲비정규 개악법안 철회 ▲국가보안법 폐지·사립학교법 개정·언론개혁법 등 개혁입법 처리 ▲공무원 노동3권 등 노동기본권 보장 입법 처리 ▲한일 FTA 전면 재검토·이라트 파병 연장 동의안 철회·용산미군기지 이전비용 전면 재협상 추진 ▲국민연금법 개악안·기업도시법 철회 등을 촉구했다.
한국노총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최근 전개되고 있는 노동계의 총력투쟁과 노정관계의 파탄은 정부가 노동계를 대화의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은데 있다”며 “정부가 아집과 독선으로 비정규관련법안, 공무원특별법안 등 노동 관계법을 일방적으로 처리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노총은 이어 “정부는 노동계가 반발하는 노동 관계법안을 일방적으로 처리하지 말고 노동계, 경영계 등과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며 “공무원노조에 대한 중징계 방침도 철회하고 노동계와 성실한 자세로 교섭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한국노총은 아울러 이런 제안에도 불구하고 국회와 정부가 일방적으로 법안을 처리할 경우 이달말 총파업 투쟁을 전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최용선 기자 cys@siminilbo.co.kr
민주노총은 22일 사회적 혼란을 막기위해 파업돌입 전까지 집중적인 교섭을 정부측에 제의한 뒤 만일 정부가 이를 거부할 경우 오는 26일 예정대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절박한 민중생존권을 해결하기 위한 총파업을 여러차례 공언했지만 정부당국은 아직도 사태해결의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정부가 교섭에 나설 경우 민주노총은 한국노총과 함께 임원진과 대표자를 중심으로 교섭단을 꾸리고 적극적인 교섭에 임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대화 태도에 따라서는 파업의 수위조절 등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부가 비정규직법안을 상임위에 상정하지 않는다는 구체적인 태도 표명이나 폐기 의사를 밝히지 않는 한 총파업 강행 입장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아울러 ▲비정규 개악법안 철회 ▲국가보안법 폐지·사립학교법 개정·언론개혁법 등 개혁입법 처리 ▲공무원 노동3권 등 노동기본권 보장 입법 처리 ▲한일 FTA 전면 재검토·이라트 파병 연장 동의안 철회·용산미군기지 이전비용 전면 재협상 추진 ▲국민연금법 개악안·기업도시법 철회 등을 촉구했다.
한국노총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최근 전개되고 있는 노동계의 총력투쟁과 노정관계의 파탄은 정부가 노동계를 대화의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은데 있다”며 “정부가 아집과 독선으로 비정규관련법안, 공무원특별법안 등 노동 관계법을 일방적으로 처리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노총은 이어 “정부는 노동계가 반발하는 노동 관계법안을 일방적으로 처리하지 말고 노동계, 경영계 등과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며 “공무원노조에 대한 중징계 방침도 철회하고 노동계와 성실한 자세로 교섭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한국노총은 아울러 이런 제안에도 불구하고 국회와 정부가 일방적으로 법안을 처리할 경우 이달말 총파업 투쟁을 전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최용선 기자 cys@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