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닫힌 문을 열지 못하는 열린우리당의 모습이 참으로 한심하다.
2일 여야가 합의한 ‘행정도시특별법’을 반대하는 농성의원들이 안에서 걸어 잠근 법사위 출입문은 당명 앞에 ‘열린’이라고 표기한 우리당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쉽게 열리지만은 않았다.
한나라당 이재오 김문수 박계동 배일도 의원 등 농성파 4인이 특공대를 조직해 여야 지도부가 합의한 행정도시건설 특별법을 막기 위해 이날 법사위 출입문에 못질을 했으며, 열린우리당은 과반의석에도 불구하고 끝내 이 문을 열지 못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실제로 최연희 법제사법위원장에 대한 회의장소 변경 건과 사회권 위임 요구를 하고 있는 법사위 소속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최 위원장이 자리를 피하자 법사위 회의실 문을 열기 위해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물론 열쇠로도 문은 열리지 않았으며 일부 의원들과 보좌진들이 힘으로 열려했으나 이마저도 굳게 닫힌 출입문을 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오죽하면 닫힌 문도 열지 못하면서 무슨 ‘열린당’이냐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져 들어오겠는가.
현실적으로 법사위 회의 자체가 안되는 상황에서 ‘배째라’는 식의 의원들의 실력행사에 밀린다면 국회기능이 완전 무력화 되는 것을 인정하는 꼴이 되는 것 아니겠는가.
열린우리당의 이 같은 한심한 모습은 이전에도 있었다.
지난해 말 열린우리당은 국가보안법폐지안을 상정하려 했으나, 굳게 닫힌 법사위 문을 열지 못한 채 끝내 포기하고 말았다. 다수당인 열린우리당이 소수당인 한나라당의 물리력 앞에 무릎을 꿇었다는 말이다.
열린우리당이 소수인 한나라당의 반민족ㆍ반통일 세력에 밀려 보안법철폐의 국회 상정 용단을 내리지 못함으로써 다시 한 번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기고 말았으니 얼마나 한심한 노릇인가.
그때 열린우리당은 의회민주주의의 원칙을 내세우며 보다 강하게 밀어부쳐야 했다. 그런데도 당시 그들에게 양보(?)하는 미덕(?)을 발휘함으로써 결국 이번과 같은 사태를 초래하고 만 것이다.
반민족·반통일세력에게는 한 걸음 양보하면 결국 두 걸음, 세 걸음까지 양보해야 된다는 것을 정녕 몰랐다는 말인가.
필자는 지금 행정도시특별법을 찬성하는 것이 아니다.
여야 합의하에 이뤄진 수도분할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반대한다. 하지만 지금 국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습은 정상이 아니다.
소수의 ‘배째라’는 무리 앞에 무릎을 꿇는 의회정치라면, 무슨 희망이 있겠는가.
국민이 과반 의석을 만들어 줬으면, 열린우리당은 그에 걸맞는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법사위의 ‘닫힌 문’도 열지 못하는 ‘열린우리당’이라면, 차라리 당명 앞에 붙은 ‘열린’이라는 꼬리표를 떼어 내고 ‘닫힌우리당’이라고 하는 게 마땅하지 않겠는가.
필자는 지켜보겠다. 특히 국보법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볼 것이다.
2일 여야가 합의한 ‘행정도시특별법’을 반대하는 농성의원들이 안에서 걸어 잠근 법사위 출입문은 당명 앞에 ‘열린’이라고 표기한 우리당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쉽게 열리지만은 않았다.
한나라당 이재오 김문수 박계동 배일도 의원 등 농성파 4인이 특공대를 조직해 여야 지도부가 합의한 행정도시건설 특별법을 막기 위해 이날 법사위 출입문에 못질을 했으며, 열린우리당은 과반의석에도 불구하고 끝내 이 문을 열지 못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실제로 최연희 법제사법위원장에 대한 회의장소 변경 건과 사회권 위임 요구를 하고 있는 법사위 소속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최 위원장이 자리를 피하자 법사위 회의실 문을 열기 위해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물론 열쇠로도 문은 열리지 않았으며 일부 의원들과 보좌진들이 힘으로 열려했으나 이마저도 굳게 닫힌 출입문을 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오죽하면 닫힌 문도 열지 못하면서 무슨 ‘열린당’이냐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져 들어오겠는가.
현실적으로 법사위 회의 자체가 안되는 상황에서 ‘배째라’는 식의 의원들의 실력행사에 밀린다면 국회기능이 완전 무력화 되는 것을 인정하는 꼴이 되는 것 아니겠는가.
열린우리당의 이 같은 한심한 모습은 이전에도 있었다.
지난해 말 열린우리당은 국가보안법폐지안을 상정하려 했으나, 굳게 닫힌 법사위 문을 열지 못한 채 끝내 포기하고 말았다. 다수당인 열린우리당이 소수당인 한나라당의 물리력 앞에 무릎을 꿇었다는 말이다.
열린우리당이 소수인 한나라당의 반민족ㆍ반통일 세력에 밀려 보안법철폐의 국회 상정 용단을 내리지 못함으로써 다시 한 번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기고 말았으니 얼마나 한심한 노릇인가.
그때 열린우리당은 의회민주주의의 원칙을 내세우며 보다 강하게 밀어부쳐야 했다. 그런데도 당시 그들에게 양보(?)하는 미덕(?)을 발휘함으로써 결국 이번과 같은 사태를 초래하고 만 것이다.
반민족·반통일세력에게는 한 걸음 양보하면 결국 두 걸음, 세 걸음까지 양보해야 된다는 것을 정녕 몰랐다는 말인가.
필자는 지금 행정도시특별법을 찬성하는 것이 아니다.
여야 합의하에 이뤄진 수도분할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반대한다. 하지만 지금 국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습은 정상이 아니다.
소수의 ‘배째라’는 무리 앞에 무릎을 꿇는 의회정치라면, 무슨 희망이 있겠는가.
국민이 과반 의석을 만들어 줬으면, 열린우리당은 그에 걸맞는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법사위의 ‘닫힌 문’도 열지 못하는 ‘열린우리당’이라면, 차라리 당명 앞에 붙은 ‘열린’이라는 꼬리표를 떼어 내고 ‘닫힌우리당’이라고 하는 게 마땅하지 않겠는가.
필자는 지켜보겠다. 특히 국보법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볼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