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서울시민들 가운데 열명 중 일곱명은 행정도시건설을 반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결과는 가히 충격적이다. 반면 겨우 두명 정도가 행정도시건설을 찬성하고 있을 뿐이다.
특히 정당지지율에서도 서울시민들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49.8%가 한나라당을 지지하고 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이는 21.6%의 열린우리당 지지율의 두배가 넘는 압도적인 수치가 아닌가.
그동안 각종 여론조사에 서울지역에서만큼은 ‘차떼기 당’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한나라당이 열린우리당을 앞선 예가 극히 드물었던 것에 비하면 정말 놀라운 민심의 변화다.
하지만 이는 어쩌면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행정중심도시특별법은 여야의 정략적인 방침에 의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집중화 해소를 위해 수도이전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던 필자마저 ‘수도분할’에는 동의할 수 없는 마당이니 오죽하겠는가.
이미 여야 정치권합의 아래 추진되고 있는 행정도시건설을 저지하기 위해 58개의 시민사회단체가 뭉쳤다는 소식마저 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한나라당 수도지키기투쟁위원회(수투위)는 이를 기회로 ‘이명박 신당’을 가시화하려고 할지 모르겠으나, 그런 정파적 운동만 아니라면 이런 움직임이 시민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도 있음이다.
따라서 여야정치권 모두 이 문제를 원점에서부터 진지하게 재검토해 주기를 바란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부터 생각을 바꿔야 한다.
노 대통령은 27일 오전 출입기자들과 북악산을 등반하면서 산상간담회를 갖고 “여기에 올라와 서울을 내려다보면서 큰 도시가 과연 살기 좋은 도시인가, 프랑스는 왜 그렇게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 국력을 지방으로 분산하는 정책을 펴왔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우리 사고가 결정적으로 전환되는 전환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물론이다. 수도권 집중은 지겹다. 교통난 주택난 교육난 환경난 등 각종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을 적극 지지한다.
하지만 수도분할은 그 답이 아니다. 온전한 행정수도를 건설하든지 아니면, 그를 포기하는 게 옳다는 말이다.
지금과 같은 수도분할은 결국 수도권의 과밀화도 해소하지 못하면서 수도권 경쟁력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물론 이번 여론조사는 특별법 통과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만일 이 같은 일이 내년 지방선거 직전에 진행됐다면, 열린우리당은 지난 4.15총선에서 ‘탄핵’효과를 톡톡히 보았던 것과는 정 반대로 ‘특별법’효과로 인해 추풍낙엽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여야 정치권은 이것을 단지 ‘서울민심일 뿐’이라고 폄하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서울은 각 지역 출신들이 모여 사는 용광로와 같은 지역이다. 따라서 서울의 민심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특히 정당지지율에서도 서울시민들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49.8%가 한나라당을 지지하고 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이는 21.6%의 열린우리당 지지율의 두배가 넘는 압도적인 수치가 아닌가.
그동안 각종 여론조사에 서울지역에서만큼은 ‘차떼기 당’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한나라당이 열린우리당을 앞선 예가 극히 드물었던 것에 비하면 정말 놀라운 민심의 변화다.
하지만 이는 어쩌면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행정중심도시특별법은 여야의 정략적인 방침에 의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집중화 해소를 위해 수도이전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던 필자마저 ‘수도분할’에는 동의할 수 없는 마당이니 오죽하겠는가.
이미 여야 정치권합의 아래 추진되고 있는 행정도시건설을 저지하기 위해 58개의 시민사회단체가 뭉쳤다는 소식마저 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한나라당 수도지키기투쟁위원회(수투위)는 이를 기회로 ‘이명박 신당’을 가시화하려고 할지 모르겠으나, 그런 정파적 운동만 아니라면 이런 움직임이 시민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도 있음이다.
따라서 여야정치권 모두 이 문제를 원점에서부터 진지하게 재검토해 주기를 바란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부터 생각을 바꿔야 한다.
노 대통령은 27일 오전 출입기자들과 북악산을 등반하면서 산상간담회를 갖고 “여기에 올라와 서울을 내려다보면서 큰 도시가 과연 살기 좋은 도시인가, 프랑스는 왜 그렇게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 국력을 지방으로 분산하는 정책을 펴왔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우리 사고가 결정적으로 전환되는 전환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물론이다. 수도권 집중은 지겹다. 교통난 주택난 교육난 환경난 등 각종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을 적극 지지한다.
하지만 수도분할은 그 답이 아니다. 온전한 행정수도를 건설하든지 아니면, 그를 포기하는 게 옳다는 말이다.
지금과 같은 수도분할은 결국 수도권의 과밀화도 해소하지 못하면서 수도권 경쟁력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물론 이번 여론조사는 특별법 통과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만일 이 같은 일이 내년 지방선거 직전에 진행됐다면, 열린우리당은 지난 4.15총선에서 ‘탄핵’효과를 톡톡히 보았던 것과는 정 반대로 ‘특별법’효과로 인해 추풍낙엽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여야 정치권은 이것을 단지 ‘서울민심일 뿐’이라고 폄하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서울은 각 지역 출신들이 모여 사는 용광로와 같은 지역이다. 따라서 서울의 민심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