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권이 원수다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5-08-30 19:54:38
    • 카카오톡 보내기
    고 하 승 편집국장
    {ILINK:1} 한나라당은 30일부터 31일까지 강원도 홍천에서 연찬회를 갖는다.
    연찬회에서 한나라당은 혁신위안, 즉 당권과 대권 분리, 집단지도체제 도입, 조기전당대회 개최, 책임당원제 실시 등을 놓고 격론을 벌일 것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표면상의 이유일 뿐이고, 사실은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하는 주체가 누가 되느냐가 최대의 관심사다. 이는 차기 대권주자들의 이해관계와도 맞물리는 것으로 어느 진영이든 양보하기 어려운 문제다.
    한나라당내에서 비주류로 분류되는 모 의원도 이 같은 점을 솔직하게 시인했다. 물론 주류측의 사정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실제로 소장파 의원들로 구성된 ‘새정치 수요모임’과 3선 이상 중진의원들의 모임인 ‘국가발전전략연구회’ 등 반박(反朴) 성향의 의원들은 지도부를 향해 ‘혁신위안 수용’을 촉구하면서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발전연과 수요모임 소속 의원들의 견해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발전연 소속의 김문수 의원은 “내 아버지가 만들어도 혁신안은 못받는다”며 노골적으로 등을 돌린 상태다.

    더구나 연찬회가 열리기 전날 양측(발전연 14명, 수요모임 5명 참석)이 연석회의를 갖고 혁신안에 대해 논의했으나 각론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했다.
    그런데도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희망 때문에 서로 손을 잡았다.

    당시 연석회의에서는 혁신위는 박근혜 대표가 당초 초법적 기구로 당 혁신을 위해 구성키로 한 만큼, 혁신위가 만든 안은 도중에 수정절차를 밟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누구도 혁신위안에 대해 권한을 행사할 수 없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즉 연찬회는 형식적인 의견수렴 자리가 될 뿐이며, 대표는 결국 혁신위안을 집행할 권한만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배일도 의원은 “내용상 문제점이 발견되면 수정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한다. 그 가운데서도 유명무실하게 흐르고 있는 최고위원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게 배의원의 견해다.

    즉 선출직 5명, 임명직 4명으로 구성돼 있는 최고위원을 모두 선출직으로 전환하고, 2석 정도 늘리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특히 선출직 중에서는 한나라당 소외지역인 호남지역 최다 득표자를 최고위원이 될 수 있게 하고, 지금처럼 유명무실한 자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공천권을 가질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공천권 문제다. 혁신위안을 수정 없이 통과시켜야 한다는 측이나 수정·보완해 통과시켜야 한다는 측 모두가 공천권행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혁신위안을 사실상 전면 반대하는 주류측의 경우는 다른가.
    별반 다를 바 없다. 겉으로는 오는 10월26일 재보선과 내년 지방선거의 승리를 위해 ‘박대표 흔들기’가 진행돼서는 안 된다고 말하지만 속내는 한마디로 “공천권을 내놓을 수 없다”는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